탄성 및 비탄성 충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3-28 00:35
본문
Download : 탄성 및 비탄성 충돌(2).hwp
비탄성 충돌 중에서도 충돌하는 두 입자가 충돌 후 결합하여 한 물체가 되면 완전 비탄성
충돌이고, 實驗(실험)에서도 행해지는데 날아가는 탄환의 속도를 측정(measurement)할 때 빠른 탄환의 속도를
눈으로는 측정(measurement)할 수 없기 때문에 매달린 무거운 나무토막에 탄환을 발사하여 결합시킨 후
나무토막의 운동을 해석함으로써 탄환의 속도를 역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충돌 직전 직
후 관계는 운동량 보존 법칙을 적용시키고, 충돌 이후 나무토막의 운동에너지가 위치에너지
로 전환되는 과정을 역학적에너지 보존법칙을 적용합니다.
③대포의 세기를 2단으로 맞추고 구슬을 넣는다.
⑤각도θ를 측정(measurement)한다.
⑤충돌 후 운동에너지의 theory(이론)값과 측정(measurement)값을 측정(measurement)한다.
①진자 내에 노란 구슬을 넣는다
다.
⑥實驗(실험)을 3번 반복하여 초속도 v를 구한다.
①진자의 아래에 추를 제거한다.
탄성 및 비탄성 충돌
실험과제/기타
Download : 탄성 및 비탄성 충돌(2).hwp( 57 )
탄성,및,비탄성,충돌,기타,실험과제
탄성 및 비탄성 충돌 , 탄성 및 비탄성 충돌기타실험과제 , 탄성 및 비탄성 충돌
설명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탄성 및 비탄성 충돌
순서
[탄성 및 비탄성 충돌]
●實驗(실험)목적
탄성충돌과 비탄성충돌 實驗(실험)을 통하여 에너지보존 법칙과 운동량보존 법칙을 이해한다.(보통 4m/s이다.
둘의 차이점은 충돌 전/후에 입자들의 운동에너지의 합이 변하지 않는다면 탄성충돌이고,
전체 입자의 운동에너지가 충돌 후 감소하는 것이 비탄성 충돌입니다. 그리고 문제 해석…(省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