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노동행위제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1-27 23:20
본문
Download : 부당노동행위제도_5012316.hwp
부당노동행위제도 , 부당노동행위제도법학행정레포트 ,
부당노동행위제도
부당노동행위제도
다.
⑶ 원상회복주의의 원칙
원상회복주의를 원칙으로 하나 과벌주의를 병용하고 있따 (1953년 법 제정당시에는 직벌주의를 취하고 있었고, 1963년 법 개정시 원상회복주의로 전환하였다가 1986년 법 개정시 원상회복주의와 처벌주의를 병행하는 것으로 하였음)
【참고】새로 제정된 법에서는 구 노동조합법 제46조의 2 단서상의 “다만, 피해자의 명시한 의사에 반하여 논할 수 없다”는 규정이 삭제됨에 따라 피해자 또는 노동조합의 고소·고발이 없더라…(skip)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의의와 연혁, 특징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Download : 부당노동행위제도_5012316.hwp( 51 )
레포트/법학행정
설명
【참고】부당노동행위구제제도(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와 부당해고 등 구제제도(근로기준법)가 그 목적·요건 등이 다른 별개의 제도인가?
부당노동행위구제제도는 집단적 노사관계질서를 파괴하는 사용자의 행위를 예방·제거함으로써 근로자의 단결권·단체교섭권 및 단체행동권을 확보하여 노사관계의 질서를 신속하게 정상화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음에 비하여, 부당해고 등 구제제도는 개별적 근로계약관계에 있어서 근로자에 대한 권리침해를 구제하기 위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는 그 목적과 요건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그 구제명령의 내용 및 효력 등에 있어서도 서로 다른 별개의 제도이다.
,법학행정,레포트
순서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의의와 연혁, 특징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