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기준법 23조 2항의 해고시기의 제한에 대한 검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21 00:50
본문
Download : 근로기준법 23조 2항의 해고시기의 제한에 대한 검토.hwp
근로기준법 23조 2항의 해고시기의 제한에 대한 검토
레포트/법학행정
근로기준법 23조 2항의 해고시기의 제한에 대한 검토 , 근로기준법 23조 2항의 해고시기의 제한에 대한 검토법학행정레포트 , 근로기준법 조 항 해고시기 제한 검토
근로기준법,조,항,해고시기,제한,검토,법학행정,레포트
순서
근로기준법 23조 2항의 해고시기의 제한에 대한 검토
해고시기의 제한에 대한 법적 쟁점 검토
Ⅰ. 들어가며
1. 해고의 정의(定義)
해고의 법적 정의(定義) 은 사용자의 일방적/확정적 의사표시로 근로관계를 종료하는 것을 의미한다.
Ⅱ. 해고금지기간
1. 업무상재해의 요양을 위한 기간과 그 후 30일간
1) 의의
이러한 규정의(定義) 의의는 노동력 상실 및 그 회복기간 동안 근로자가 실직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나 재기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함이라고 할 수 있다아
2) 일부휴업이 포함되는지 여부
이는 출퇴근하면서 통원 치료받는 경우도 해고가 금지되는 기간에 해당하는지 여부의 문제인 바 동 규정의(定義) 취지 감안시, 요양 위해 휴업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해석함이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2. 해고시기제한의 necessity
해고의 정당한 사유가 있어도 어느 특정시기에 심신이 허약한 근로자를 해고하는 것은 물질적, 정신적 고통을 가중시킬 수 있으므로, 근기법 23조에서 근로자 안정적 생활관계 보장하려는 취지에서 해고시기제한 규정(4인이하 사업장에 적용)을 두고 있다아 이하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2. 산전후, 유사산 휴가기간과 그 후 30일간
임산부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 및 모성보호…(skip)
Download : 근로기준법 23조 2항의 해고시기의 제한에 대한 검토.hwp( 17 )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