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교거부(학교거부증, 학교공포증)의 진단기준과 역학 및 발달과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12 07:43
본문
Download : 등교거부(학교거부증, 학교공포증)의 진단기준과 역학 및 발달과정.hwp
행동주의적 관점에서는 어머니를 잃게 될지 모른다는 아동의 강한불안이 학교와 연합되어 학교를 회피하는 반응이 학습된 것으로 본다.
이 접근의 기본 개념(槪念)은 아동이 어머니에 대한 강한 애착으로 인해 어머니와 분리되어 있는 동안 자신이나 어머니에게 어떤 일이 일어날지도 모른다는 불안을 느낀다는 것이다.
설명
등교거부(학교거부증, 학교공포증)의 진단기준과 역학 및 발달과정
등교거부(학교거부증, 학교공포증)의 진단기준과 역학 및 발달과정 , 등교거부(학교거부증, 학교공포증)의 진단기준과 역학 및 발달과정인문사회레포트 , 등교거부 학교거부증 학교공포증 진단기준과 역학 발달과정
등교거부,학교거부증,학교공포증,진단기준과,역학,발달과정,인문사회,레포트
등교거부(학교거부증, 학교공포증)의 진단기준과 역학 및 발달과정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등교거부(학교거부증, 학교공포증)의 진단기준과 역학 및 발달과정.hwp( 31 )
순서
등교거부(학교거부증, 학교공포증)의 진단기준과 역학 및 발달과정
학교가기를 심하게 꺼리는 것으로 학교 공포증으로 불리기도 하며 종종 신체적 호소를 동반한다.
일단 회피행동이 발생하게 되면 이 행동은 관심이나 기타 보상에 의해 강화를 받을 수 있다아
I. 진단기준(DSM)
학교에 가기를 꺼리거나 거부하는 것은 위의 분리불안장애의 진단기준에
%EC%9D%98%20%EC%A7%84%EB%8B%A8%EA%B8%B0%EC%A4%80%EA%B3%BC%20%EC%97%AD%ED%95%99%20%EB%B0%8F%20%EB%B0%9C%EB%8B%AC%EA%B3%BC%EC%A0%95_hwp_01.gif)
%EC%9D%98%20%EC%A7%84%EB%8B%A8%EA%B8%B0%EC%A4%80%EA%B3%BC%20%EC%97%AD%ED%95%99%20%EB%B0%8F%20%EB%B0%9C%EB%8B%AC%EA%B3%BC%EC%A0%95_hwp_02.gif)
%EC%9D%98%20%EC%A7%84%EB%8B%A8%EA%B8%B0%EC%A4%80%EA%B3%BC%20%EC%97%AD%ED%95%99%20%EB%B0%8F%20%EB%B0%9C%EB%8B%AC%EA%B3%BC%EC%A0%95_hwp_03.gif)
다. 실제로 학교에 대한 공포는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등교거부라는 용어를 선호한다.
정신역동적 관점에서는 아동이 집에 있고 싶어 하는 욕구는 아동과 어머니 모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분리와 관련한 갈등인 것으로 기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