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history(역사) 학의 입장에서 본 생활사의 개념(槪念)과 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09 13:06
본문
Download : 새로운 역사학의 입장에서 본 생활사의 개념과 방향.hwp
` 새로운 역싸학의 입장에서 본 생활사의 concept(개념)과 방향 `
○ 최근 10여 년간 한국사학계에 나타난 새로운 경향
- 생활사 (history of everyday life)
- 뚜렷한 사학사적인 인식 아래서 이를 연구하고자 한 것은 최근의 일
- 이데올로기 투쟁으로 점철된 1970~80년대 한국 현대사의 한 시대가 끝나고 그와는 성격이 다른 한 시대로 넘어가고 있는 징후
- ‘모더니티’ 중심에서 ‘포스트모던’의 시대로
○ 생활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된 요인 (우인수)
- 기존의 정치사ㆍ경제사ㆍ사상사ㆍ사회사 등의 업적이 축적되면서 자연스럽게 생활사 쪽으로 연구 방향이 이동
- 아날학파나 독일 일상사 등 서양학계의 새로운 경향의 影響
- 문화인류학ㆍ민속학 등 인접학문의 자극
- 북한학계의 생활풍습 연구의 影響
- 과거의 생활상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고조
○ 기존의 민속학, 복식사, 제도사, 경제사, 사회사 등 학제와 전통 아래 해오던 방
새로운 history(역사) 학의 입장에서 본 생활사의 개념(槪念)과 방향




새로운 history(역사) 학의 입장에서 본 생활사의 개념(槪念)과 방향
설명
순서
Download : 새로운 역사학의 입장에서 본 생활사의 개념과 방향.hwp( 31 )
레포트/경영경제
새로운 역사학의 입장에서 본 생활사의 개념과 방향 , 새로운 역사학의 입장에서 본 생활사의 개념과 방향경영경제레포트 , 새로운 역사학 입장에서 본 생활사 개념과 방향
새로운,역사학,입장에서,본,생활사,개념과,방향,경영경제,레포트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