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n--2i0bm4p0sf2wh.com ●된장 > korp11 | xn--2i0bm4p0sf2wh.com report

●된장 > korp11

본문 바로가기

korp11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된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06 03:51

본문




Download : ●된장.hwp




3일후에 보면 항아리의 1/3정도 높이까지 찌꺼기가 가라앉으므로 그 위의 물만 사용하면 된다된다. 넷째, 선심(善心)-매운 맛을 부드럽게 한다. 그 과정이 지나면 다시 밖에 내놓고 1주일을 말린뒤 수세미로 깨끗이 씻은뒤 다시 1주일을 말려야 장 담글 준비가 되는 것이다.

된장의 constituent

된장의 constituent 은 수분 58.5%, 단백질 13.6%, 지방 4.4%, 탄수화물 20.5%, 회분 3.0%, 기타 비




●된장



설명





●된장
순서


Download : ●된장.hwp( 49 )



레포트/기타


●된장 , ●된장기타레포트 , ●된장
●된장,기타,레포트

●된장_hwp_01.gif ●된장_hwp_02.gif ●된장_hwp_03.gif ●된장_hwp_04.gif ●된장_hwp_05.gif ●된장_hwp_06.gif


다.

14. (12)의 메주와 대추, 태양초 ,통깨등을 준비한다.

10. 해가 있을때는 내놓고, 해가지면 들여놓는 식으로 밖에서 3주일 정도를 더 말린다. 셋째, 불심(佛心)-비리고 기름진 냄새를 제거한다.

5. 절구에 삶은 콩을 넣고 찧는다. (오른쪽이 건강한 콩, 왼쪽은 덜 건강한 콩)

2. 콩을 무쇠 솥에 담고 물을 부어 삶는다.

15. 입구가 넓은 항아리를 골라 깨끗이 닦아 바싹 말려 놓은뒤 그안에 메주를 켜켜로 쌓아 넣고 (13)의 소금물을 부운뒤 대추,고추 그리고 소금을 군데군데 얹는다.

4. 삶아진 콩을 퍼낸다. 된장의 정이
된장은 한국의 대표적인 장(醬)
메주로 간장을 담근 뒤에 장물을 떠내고 남은 건더기 메주에 소금물을 알맞게 부어 장물을 내지 않고 그대로 먹는 장.
된장의 `된`은 `되다(hard)`의 뜻이 있다 된장은 옛부터 `오덕(五德)이라 하여 `첫째, 단심(丹心)-다른 맛과 섞어도 제 맛을 낸다.

6. 찧어낸 콩을 목침만한 네모틀에 넣어 메주모양을 만들어낸다. 둘째, 항심(恒心) -오랫 동안 상하지 않는다. 알이 크고 모양이 통통하며 콩눈 근처에 쭈글쭈글한 주름이 없는 것이 좋은 콩이다. 장을 담글 소금물은 미리 만들어 두는데 우선 큰 항아리에 물을 담고 날 달걀을 한 개 띄워 보아서 동전 크기만큼 달걀이 보일 정도로 (염도 17도)소금을 풀어 놓은뒤 3일동안 그대로 둔다.

13. 장을 담그기 위한 소금을 준비한다.`라고 하여, 옛부터 전해 내려오는 우리 나라의 전통식품으로 구수한 고향의 맛을 상징하게 된 식품
된장의 history
장이라는 concept(개념)이 처음 나타난 것은 기원전 3세기에 쓰인 China의 ‘주례’라는 문헌을 통해 알 수 있다
장에는 ‘해’와 ‘혜’로 나눌 수 있다 ‘해’는 짐승고기나 물고기를 가리지 않고, 이것을 햇볕에 말려서 고운 가루로 하여 술에 담그고 여기에 조로 만든 누룩과 소금을 잘 섞어 항아리에 넣고 밀폐하여 100일간 어두운 곳에서 숙성시켜 얻은 것이며, ‘혜’는 재료가 ‘해’와 같으나 청매즙을 넣어서 신맛이 나…(투비컨티뉴드 )

1. 메주를 쑬 콩중에서 쭈글쭈글한 콩이나 불순물을 골라낸다. 소금은 천일염을 사다가 볕이 안드는 지하실에 차곡차곡 쌓아 놓아 간수가 빠져나가도록 한다.

9. 실내에서 1주일 정도 말린다. 보통 한솥을 찌는데 콩 반가마로 솥의 1/2을 채우고 물을2/3쯤 차도록 부은 뒤 1시간불을 때고 나서 2시간동안 뜸을 들인다.

12. 4주일을 말린 메주를 온돌 방에 들여놓고, 멍석이나 짚을 깐 바닥에 메주 한켜, 순서로 여러겹을 쌓은 뒤 솜이불을 덮어 놓고 3일 다시 뒤집어서 3일, 다시 뒤집어 가며2주일 동안 메주를 띄운다.

11. 짚으로 묶어 매단 메주에는 짚이 닿은 부분에 하얀 곰팡이가 생긴다.

7. (6)의 메주를 그대로 하루 동안 말린다. 간수가빠지지 않은 소금을 그대로 사용하면 된장 맛이 쌉쌀해지므로 4년정도 포장 그대로 쌓아 두었다가 간수가 빠져나간 것으로 위의 것부터 次例(차례)로 사용한다. 이 하얀 곰팡이가 피어야 제대로 마른 메주이다.

3. 불을땔 때는 가끔씩 뚜껑 위로 찬물을 부어 주며 삶는다.

8. 짚으로 새끼를 꽈서 묶어 통풍이 잘되도록 매단다.

16. 마지막으로 새빨갛게 불에 달군 참숯을 그대로 항아리에 넣는다. 다섯째, 화심(和心)-어떤 음식과도 조화를 잘 이룬다.

REPORT 11(sv76)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www.xn--2i0bm4p0sf2wh.com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www.xn--2i0bm4p0sf2wh.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