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시대의 장신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6-28 01:30
본문
Download : 선사시대의 장신구.hwp
이밖에 운작문음각, 족부엽상문음각, 동곳머리에만 조각한 것, 동곳머리에 운문을 음각한 것이 전해지고 있다
3) 귀걸이 : 현재 남아있는 것은 금으로 만든 것인데, 구형소주 3개를 연속시킨 것과 구형소주가 장식된 것이 있다
4) 반지 : 금반지에 마노상 보석이 감장되어 있는 것과 녹색보석이 박힌 것이 있다 이외에 당초문을 양각한 금 반지, 톱니문을 새긴 은 반지와 일부를 세조한 은반지, 무늬없는 동반지 등이 있다
설명
고려시대의 장신구 고려시대는 경제적으로나 문화적으로 발달된 사회였으므로 장신구의 사용이 많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순서
고려시대의 장신구
Download : 선사시대의 장신구.hwp( 20 )
선사시대의 장신구
고려시대의 장신구
고려시대는 경제적으로나 문화적으로 발달된 사회였으므로 장신구의 사용이 많았을 것으로 추측된다된다.
출토된 유물과 문헌의 기록을 토대로 살펴보면, 고려시대 장신구는 전시대에 비하여 기법은 쇠퇴하였으나, 장신구에 시문하는 기술이 두드러지게 발달하였다.
신라에서도 신분에 따라 장신구가 각기 달랐는데 고려시대에는 더욱 금제가 많았고 따라서 조복, 상복, 공복, 편복, 제복에 따라 장신구 착용이 각기 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