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평가제 도입 배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6-26 00:17
본문
Download : 교원평가제 도입 배경.hwp
지난해 11월 한국교육개발원(KEDI)이 전국 초·중등 교원 295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4.3%가 “근평제도 改善(개선) 이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근평제도의 問題點으로는 상급자 위주의 평가(43.6%), 모호한 평정기준(22.9%), 상대평가 방법(10.2%) 순으로 나타났다.
Download : 교원평가제 도입 배경.hwp( 85 )


,사범교육,레포트
교육인적자원부가 2일 발표한 `교원평가제도 改善(개선) plan`은 공정한 평가를 통해 교원의 지도능력 및 전문성을 강화해 학교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현행 교육공무원법 및 교육공무원승진규정에 따른 우리나라 교원근무평정제도(이하 근평제)는 교장을 제외한 교사와 교감이 평가대상으로 교사는 교감과 교장이, 교감은 교장과 감독청이 평가하는 방식이다.
교원평가제도 改善(개선) 에 대한 요구가 커짐에 따라 교육부는 지난해 2월 `사교육비 경…(투비컨티뉴드 )
교원평가제에대한논의
교원평가제 도입 배경에 대한 자료입니다. 교원평가제에대한논의 , 교원평가제 도입 배경사범교육레포트 ,
레포트/사범교육
설명
교원평가제 도입 배경에 대한 자료(data)입니다. 또 현행 교원근무평정제도가 객관성·공정성이 부족하고 교원들의 능력개발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됨에 따라 공정한 평가체계를 구축하고자 마련됐다. 근평제는 교사의 지도능력 및 전문성 등을 평가하는 구체적인 평가지표가 없으며, 평가결과는 승진·전보·포상 등 인사 관리에 한해서만 활용돼 왔다.
교원평가제 도입 배경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