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사소송법상 각종의 소에 있어서 의 소송물의 특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6-01 23:43
본문
Download : 민사소송법상 각종의 소에 있어서의 소송물의 특정.hwp
2. 이행의 소
이행의 소의 소송물을 특정하는 방법은 소송물理論에 따라 크게 다르다. 그것은 부동산등기법이 등기신청에 등기요인과 그 연월일의 기재를 요구하므로(부등 41), 청구취지에 등기요인(매매?취득시효 등)이 구체적으로 표시되기 때문일것이다3. 형성의 소
(1) 구실체법설
(2) 일지설
(3) 이지설 및 신실체법설
4. 확인의 소


민사소송법상 각종의 소에 있어서 의 소송물의 특정
민사소송법상 각종의 소에 있어서 의 소송물의 특정
민사소송법상 각종의 소에 있어서 의 소송물의 특정 , 민사소송법상 각종의 소에 있어서 의 소송물의 특정법학행정레포트 , 민사소송법상 각종 소 있어서 소송물 특정
다.
(1) 구실체법설에 의하면 실체법상의 청구권마다 소송물이 별개이므로, 청구취지만으로는 소송물이 특정될 수 없고, 그것이 어떠한 청구권의 주장인가를 식별하기 위하여는 다시 그 발생요인인 구체적 사실도 참조하여야 한다(금전의 지급을 구하는데 있어 계약상의 청구권인지, 불법행위에 의한 손해배상청구권인지).
(2) 소송법설 및 신실체법의 주류에 의하면
특정물의 인도 및 작위?부작위 청구의 경우에는 청구의 취지에서 그 특정물 및 작위?부작위의 대상인 행위를 표시함으로써 소송물이 특정된다고 보므로, 청구요인에 의한 보충이 불필요하다고 할 것이다.금…(drop)
(3) 어떠한 소송물에 의하더라도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청구의 소송물은 청구취지만으로 특정된다된다.
순서
민사소송법상,각종,소,있어서,소송물,특정,법학행정,레포트
Download : 민사소송법상 각종의 소에 있어서의 소송물의 특정.hwp( 28 )
레포트/법학행정
설명
각종의 소에 있어서의 소송물의 특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