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중세국어의 후음자 ‘ㆆ’과 ‘ㅇ’의 기능은 무엇인가 / 중세국어의 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28 16:30
본문
Download : [인문] 중세국어의 후음자 ‘ㆆ’과 ‘ㅇ’의 기능은 무엇인가.hwp
[ㆆ]의 기능으로는 먼저 순 우리말에 쓰이는 경우로는 未來(미래)를 나타내는 풀이씨의 매김꼴 씨끝 「-을」은 반드시 「-ㅭ」로 적고, ‘사잇소리’를 적는 데 쓰였다. 때문에 ‘ㆆ’의 음가와 그 기능에 마주향하여 는 여러 가지 견해가 있고 정확하지는 않다. 그리고 입성 끝소리의 -t가 우리 한자음에 있어서는 ㄹ 로 바뀌었는데, 그렇게 되고 나니 그 소리는 본디 빠른 입성의 본질을 잃어버리고 말았다.
인문 중세국어의 후음자 ‘ㆆ’과 ‘ㅇ’의 기능은 무엇인가 / 중세국어의 후
설명
중세국어의 후음자 ‘ㆆ’과 ‘ㅇ’의 기능은 무엇인가 -요약- 훈민정음의 ‘ㆆ’에 대한 설명을 보면, “ㆆ는 목소리니, 자의 첫소리와 같다. (以影補來, ㅭ) 「ㅇ」의 기능은 초·중·종 세 소리를 갖춘 한자음의 ‘틀’에 맞추기 위해서 「ㅇ」을 사용했다고 볼 수 있다 중세국어의 후음자 ‘ㆆ’은 현재에는 쓰이지 않는 글자이다. 또한 ‘ㅇ’은 현재에도 쓰이고 있지만 현재와는 그 기능이 차이가 있다 때문에 후음자 ‘ㆆ, ㅇ’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중세국어의 자음체계를 이해하는데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훈민정음의 ‘ㆆ’에 대한 설명을 보면, “ㆆ는 목소리니, 자의 첫소리와 같다.” 라 했고, [ㄱㄷㅂㅈㅅ] 따위와 같이 전청에 속한다고 하였다.「ㆆ」는 또한 조선 한자음 표기에도 쓰였는데, 훈민정음의 소리 설명에서 「ㆆ」는 자의 첫소리라 하였는데, 읍모( 母)에 속하는 한자는 모두 「ㆆ」로 적었다. 그리하여 그들은 이 느슨한 ㄹ 에 입성다운 빠른 느낌을 주기 위하여 「ㆆ」로 「ㄹ」을 깁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이것만으로써는 구체적인 소리를 알 수는 없고 오직 [ㆆ]는 [ㅎ]와 같이 후두에서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중세국어의 후음자 ‘ㆆ’과 ‘ㅇ’의 기능은 무엇인가 -요약- 훈민정음의 ...
순서
[인문] 중세국어의 후음자 ‘ㆆ’과 ‘ㅇ’의 기능은 무엇인가 / 중세국어의 후
Download : [인문] 중세국어의 후음자 ‘ㆆ’과 ‘ㅇ’의 기능은 무엇인가.hwp( 18 )
중세국어의 후음자 ‘ㆆ’과 ‘ㅇ’의 기능은 무엇인가 -요약- 훈민정음의 ...
![[인문] 중세국어의 후음자 ‘ㆆ’과 ‘ㅇ’의 기능은 무엇인가-1169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C%A4%91%EC%84%B8%EA%B5%AD%EC%96%B4%EC%9D%98%20%ED%9B%84%EC%9D%8C%EC%9E%90%20%E2%80%98%E3%86%86%E2%80%99%EA%B3%BC%20%E2%80%98%E3%85%87%E2%80%99%EC%9D%98%20%EA%B8%B0%EB%8A%A5%EC%9D%80%20%EB%AC%B4%EC%97%87%EC%9D%B8%EA%B0%80-1169_01.gif)
![[인문] 중세국어의 후음자 ‘ㆆ’과 ‘ㅇ’의 기능은 무엇인가-1169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C%A4%91%EC%84%B8%EA%B5%AD%EC%96%B4%EC%9D%98%20%ED%9B%84%EC%9D%8C%EC%9E%90%20%E2%80%98%E3%86%86%E2%80%99%EA%B3%BC%20%E2%80%98%E3%85%87%E2%80%99%EC%9D%98%20%EA%B8%B0%EB%8A%A5%EC%9D%80%20%EB%AC%B4%EC%97%87%EC%9D%B8%EA%B0%80-1169_02_.gif)
![[인문] 중세국어의 후음자 ‘ㆆ’과 ‘ㅇ’의 기능은 무엇인가-1169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C%A4%91%EC%84%B8%EA%B5%AD%EC%96%B4%EC%9D%98%20%ED%9B%84%EC%9D%8C%EC%9E%90%20%E2%80%98%E3%86%86%E2%80%99%EA%B3%BC%20%E2%80%98%E3%85%87%E2%80%99%EC%9D%98%20%EA%B8%B0%EB%8A%A5%EC%9D%80%20%EB%AC%B4%EC%97%87%EC%9D%B8%EA%B0%80-1169_03_.gif)


다. 그러나 그 소리에 관해서는 전혀 구체적인 설명이 되어 있지 않고, 오직 [ㆆ]는 [ㅇ]에 비해서 그 소리가 세고 [ㅎ]보다 세지 않으나, [ㅎ]소리가 얕은 데 비해서 [ㆆ]는 깊다고 하였을 뿐이다. [ㆆ]의 소리는 [ㅎ]와 같이 후두에서 조음되었던 소리가 아니었을까 하는 추정을 할 뿐이다.” 라 했고, [ㄱㄷㅂㅈㅅ] 따위와 같이 전청에 속한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