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리포트] 재정지출 관리가 관건 `7%대 중반까지는 무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01 09:38
본문
Download : 090209111330_.jpg
실제로 china(중국) 은 최근 수출이 2개월 연속(2008년 11월·12월) 감소한데다 산업생산 증가율, 소비판매 증가율이 등 주요 경제 지표가 빠르게 둔화하면서 국내외 기관의 올해 china(중국) 경제성장률 예상치도 낮아지고 있는 추세다.
2008.12.13 09년 총통화 증가율 목표(goal) 17% 설정
2008.11.9 10개항 경기부양 조치 발표
Download : 090209111330_.jpg( 27 )
china(중국) 사회과학원 9.5 9.3
◇성장 목표(goal) 달성 가능한가=china(중국) 政府에 ‘8% 성장’은 높은 인구압력과 지역적 특색을 감안할 때 사회 안정을 위해 꼭 달성해야 하는 마지노선으로 여겨졌다.
china(중국) 政府가 성장률을 하향 조정해야 한다는 직접적인 지적도 있다.
스탠더드 차타드 없음 6.8
세계경제포럼(WEF) 없음 6.0
china(중국) 政府는 작년 말 4조위안(약 809조원)의 재정지출을 골자로 하는 경기 부양책을 내놓았다.
<표>china(중국) 政府의 주요 경제부양 정책 일지
다.레포트 > 기타
세계은행 9.2 7.5
기관 수정 전(2008년 하반기) 수정 후(2009년 1월)
2009.1.14 자동차, 철강산업 진흥 규획 발표
[글로벌리포트] 재정지출 관리가 관건 `7%대 중반까지는 무난`





[글로벌리포트] 재정지출 관리가 관건 `7%대 중반까지는 무난`
지난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china(중국) 경제정책의 중심은 경기과열 방지와 물가상승 억제에 있었다.
china(중국) 政府의 이러한 내수확대와 재정지출을 통한 8% 성장유지(保八)정책을 두고 china(중국) 내부에서도 여러 가지 opinion이 분분하다. 하지만 경기둔화 속도가 예상보다 급속히 진행되고 재정정책의 효율가 나타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면서 재정지출과 더불어 △금융경색 완화 △국내 소비 확대 △수출둔화 방지 △가공무역 규제 완화 등의 추가 대책을 계속 발표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china(중국) 政府의 재정지출이 어떻게 효율적으로 내수확대에 바람직한 influence(영향)을 미치도록 할 것인지에 달려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UNDP 없음 7∼8.9
원자바오 china(중국) 총리는 신년하례회 연설과 다보스 세계경제포럼에서 “올해 china(중국) 경제 성장의 목표(goal)는 8%”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러나 예측이기에 과대평가와 과소평가 리스크가 있다”고 말했다.
[글로벌리포트] 재정지출 관리가 관건 `7%대 중반까지는 무난`
JP모건 8.0 7.8
골드만삭스 7.5 6.0
<표>2009년 china(중국) 경제 성장률 전망 (단위:%)
순서
2008.11.12 내수확대 4대 조치
[글로벌리포트] 재정지출 관리가 관건 `7%대 중반까지는 무난`
2008.11.19 경공업발전 6개 조치
일자 주요 조치
저우샤오촨 china(중국) 인민은행 총재는 국제결제은행총재회의(BIS)에서 “대다수가 올해 8% 성장이 china(중국) 경제에는 합리적인 목표(goal)라고 믿고 있다. 이는 올해 수출을 통한 성장률 견인이 거의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공백을 적극적 재정지출과 내수 진작을 통해 만회하겠다는 표현으로 해석된다된다.
또 china(중국) 증권보, 상하이증권보 등의 신문은 상반기 성장은 어려울 것이나 하반기는 경기부양효율가 나타나서 전체적으로 8%의 성장이 달성가능한 목표(goal)라고 평가하면서도 대내외적 여건에 따라 예외적으로 목표(goal)가 7% 정도로 하향 조정될 수도 있다고 밝히고 있다. 원자바오 총리의 거듭된 8% 성장론은 그만큼 china(중국) 政府의 절박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티베트사태 50주년, 텐안먼사태 20주년, 파룬궁 사태 10주년이 되는 올해 china(중국) 의 대내외적 불안요소를 얼마나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지가 key point(핵심) 이란 얘기다. 그러나 관건은 ‘시행’과 ‘관리’의 문제로 요약된다된다. 마쥔 도이체방크 china(중국) 지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경제 성장률을 유지하는 데 너무 많은 비용이 든다면 2009년 경제 성장률을 6∼7%로 하향 조정해야 한다”며 “성장률을 하향 조정하면 과다한 재정적자와 금융 불량자산 비용을 방지할 수 있고 시장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한 대대적인 구조조정으로 경제가 빠르게 회복 될 수 있다”는 조언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큰 흐름은 부정적이다. 이를 감안하면 글로벌 경기 침체에 china(중국) 도 예외가 아니다. 그는 “무리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달성 가능한 목표(goal)”라고 역설하며 “지속적인 경기 부양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china(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9.0 8.3
베이징(china(중국) )=김진석 베이징대 政府관리학원 박사과정, rebellen@naver.com
설명
하지만 각국 전문가들은 china(중국) 경제 자연 성장률이 5∼6%임을 이유로 효율적인 정책수단이 뒷받침된다면 8%는 아니더라도 대체적으로 올해 china(중국) 이 7% 중반 정도의 성장은 무난하게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