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 외국의 학교평가 사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10 01:12
본문
Download : 교육학 - 외국의 학교평가 사례.hwp
4.뉴질랜드
설명
1.영국
순서
2.미국
5.각국의 비교





첫째, 1989년 교육개혁법에 따라 여러 부분에서 교육개혁이 추진되었으며 특히 1989년부터는 국가 교육과정이 도입되어 모든 학교에서 가르치는 내용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도달해야 할 성취수준에 대상으로하여 저항이 있었다. HMCI에게 맡겨진 가장 key point(핵심) 적인 임무는 영국의 모든 공립학교를 대상으로 한 정기적인 학교평가체제를 유지하는 일이다. 이를 위하여 독립장학사의 연수, 평가를 수행할 인증된 인사의 확보, 학교평가 실시 및 보고서 작성 지침 제공, 학교평가체제의 질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외에 영국의 교육상태에 관한 연보 발간 및 보급 등의 임무수행을 통하여 정부에 수시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교육학 - 외국의 학교평가 사례
교육학 ,외국의 학교평가 사례,학교평가
3.호주
다.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한편 영국의 학교평가는 1980년대 후반부터 강조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임영기, 1998: 23)
Download : 교육학 - 외국의 학교평가 사례.hwp( 63 )
영국은 150년에 걸쳐 지방교육청(Local Education Authority : LEA)의 왕실장학관(Her Majestys Inspector : HMI)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던 학교평가가 1992년 교육법(Education Act)에 근거하여 중앙정부차원의 민간기구인 교육기준청(The Office for Standards in Education : OFSTED)을 통해 수행되는 체제로 바뀌었다. 따라서 정부는 교육개혁들이 어떻게 추진되고 있는지 국가 교육과정이 교육기준을 향상시키는데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에 대상으로하여 판단할 증거가 필요했다고 볼 수 있다
1.영국 2.미국 3.호주 4.뉴질랜드 5.각국의 비교
그 이후 영국의 학교평가는 교육기준청(OFSTED)이 주도하고 있으며 그 기관은 비정부기관이고 이 기관의 정규직원이 아닌 등록장학사가 중심이 되어 구성된 평가팀이 학교평가를 직접 수행하고 있다 교육기준청(OFSTED)의 최고 책임자는 HMCI(Her Majestys Chief Inspector)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