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line][재료공학experiment(실험)보고서a+data(자료)] 열처리 experiment(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09 14:00
본문
Download : [재료공학실험보고서a+자료] 열처리.docx
금속의 내부조직을 연구하는 데에 가장 많이쓰이는 것은 현미경이며, 이것으로 금속입자의 크기, 모양, 배열을 볼 수 있고, 또 금속중의 여러 가지 상과 조직을 확인할 수 있다. 상평형은 계의 상特性(특성)이 시간에 따라 바뀌지 않는다는 것을 반영한다.
금속학적 원리를 기술 분야에 적용하려면 금속조직을 검사하는 방법을 알아서 제조과정에서 일어나는 조직의 변화와 그 재료의 조직과 성질과의 상호관계를 연구하여야 한다.,
설명
2.3 상평형(phase equilibrium)
2.1 조직검사의 방법
금속학적 원리를 기술 분야에 적용하려면 금속조직을 검사하는 방법을 알아서 제조과정에서 일어나는 조직의 變化와 그 재료의 조직과 성질과의 상호관계를 연구하여야 한다.
-마이크로 실험(micro test) 배율이 높은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검사하는 방법을 말한다. 결정입자는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금속 현미경을 이용하여 약 10배의 배율로 높여 觀察(관찰) 하는데 시표의 표면을 기계 및 전해질로 연마하여 연마면을 화학적으로 부식시킨 후 현미경으로 觀察(관찰) 한다. 즉 합금의 성분비율과 온도에 따른 상태를 나타내는 그림으로서, 횡축에는 조성(%), 종축에는 온도(°c)로서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 조승은 증량비율(wt%)이 보통 사용되지만 경우에 따라 원자비율(at%)로 나타낼 때도 있다
-증량비율(wt%) 일정 증량 중 대상이 되는 합금의 증량이 얼만큼의 조성을 차지하는가를 나타낸다.
-매크로 시험(macro test) 미리 육안으로 觀察(관찰) 하거나 조직을 검사하는 시험방법을 말한다. 금속현미경은 배율이 1000배 정도였으나 전자현미경은 2000~4000배 이상의 배율로 조직 觀察(관찰) 이 가능하다. 상평형이란 한상 이상이 존재하는 계에 적용되는 평형을 일컫는다. 또한 금속의 조직에 미치는 열처리, 가공 및 기타 처리의 영향을 알 수 있고, 또 기계적 성질과의 관계도 연구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시료의 표면을 빛의 반사광선을 이용한 금속현미경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전자현미경을 주로 사용한다.
2.2 상태도(phase diagram) – 상평형도
다. 또한 금속의 조직에 미치는 열처리, 가공 및 기타 처리의 影響(영향)을 알 수 있고, 또 기계적 성질과의 관계도 연구할 수 있다. 금속의 내부조직을 연구하는 데에 가장 많이쓰이는 것은 현미경이며, 이것으로 금속입자의 크기, 모양, 배열을 볼 수 있고, 또 금속중의 여러 가지 상과 조직을 확인할 수 있다.
![[재료공학실험보고서a+자료] 열처리-4675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8/%5B%EC%9E%AC%EB%A3%8C%EA%B3%B5%ED%95%99%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a+%EC%9E%90%EB%A3%8C%5D%20%EC%97%B4%EC%B2%98%EB%A6%AC-4675_01.jpg)
![[재료공학실험보고서a+자료] 열처리-4675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8/%5B%EC%9E%AC%EB%A3%8C%EA%B3%B5%ED%95%99%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a+%EC%9E%90%EB%A3%8C%5D%20%EC%97%B4%EC%B2%98%EB%A6%AC-4675_02_.jpg)
![[재료공학실험보고서a+자료] 열처리-4675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8/%5B%EC%9E%AC%EB%A3%8C%EA%B3%B5%ED%95%99%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a+%EC%9E%90%EB%A3%8C%5D%20%EC%97%B4%EC%B2%98%EB%A6%AC-4675_03_.jpg)
![[재료공학실험보고서a+자료] 열처리-4675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8/%5B%EC%9E%AC%EB%A3%8C%EA%B3%B5%ED%95%99%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a+%EC%9E%90%EB%A3%8C%5D%20%EC%97%B4%EC%B2%98%EB%A6%AC-4675_04_.jpg)
![[재료공학실험보고서a+자료] 열처리-4675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8/%5B%EC%9E%AC%EB%A3%8C%EA%B3%B5%ED%95%99%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a+%EC%9E%90%EB%A3%8C%5D%20%EC%97%B4%EC%B2%98%EB%A6%AC-4675_05_.jpg)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상태도란 여러가지 조성의 합금을 융용상태로부터 응고되어 상온에 이르기까지 상태의 alteration(변화) 를 나타낸 그림을 말한다. 결정마다 침식되는 속도가 다르므로 이에 따라 빛의 반사속도가 달라져서 흑백의 모양이 되어 觀察(관찰) 할수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조직을 매크로 현미경 조직 또는 단순히 거시조직(macro-structure)이라 한다. 예를 들어 설탕-물 시럽이 밀폐된 용기에 담겨있을 때 그 용액이 20°c 에서 고체설탕과 접촉해있을 때, 계가 평형에 있다면 시럽은 65wt% C12H22O11
재료공학실험보고서,열처리 실험
원자비율(at%) 증량비율과 마찬가지 개념(槪念)으로 원자수의 비율이다.
[재료공학experiment(실험)보고서a+data(자료)] 열처리 experiment(실험)
Download : [재료공학실험보고서a+자료] 열처리.docx( 29 )
순서
이고 35wt% H2O이다. 시럽과 고체설탕의 양과 조성은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얻어지는 조직을 미시조직(micro-stucture)이라 한다. 예를 들어 100g의 합금이 80wt% A와 20wt%의 B로 이루어져 있다면 80g의 A와 20g의 B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계의 온도가 100°c 까지 상승한다면 용해도 한계가 80wt% C12H22O11 까지 증가하며 고체설탕은 시럽용액에 녹아들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