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방법론] 평가조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6 10:31
본문
Download : 평가조사.hwp
[본문일부]
평가조사, 조사평가, 상대평가, 절대평가, 조사방법
순서
1. 전통적 접근방법
⑷ 수집된 data(資料)와 목표(goal)와의 연관分析(분석)
Ⅰ. 평가조사의 관념
Ⅲ. 평가조사의 접근법
설명
⑵ 측정(measurement)도구의 개발
⑵ 종합평가조사
3. 기능에 의한 구분
⑴ 절대평가조사
⑴ 평가할 목표(goal)의 결정
[목차]
ⅵ) 평가조사결과로 목표(goal)달성을 위한 수단을 재정립하고 이에 따라 하위목표(goal)를 수정한다. Ⅱ. 평가조사의 必要性
Ⅰ. 평가조사의 관념
2. 목표(goal) 비지향 접근법
① 목표(goal)의 확정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⑶ data(資料)의 수집
ⅳ) program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공통적인 기본원리를 발견한다.
`평가조사`는 조사를 수행하는 과정 혹은 그것의 유용성 및 타당성을 과정상에서 평가하는 `조사평가`와는 달리, 조사의 목적 자체가 어떤 의사결정이나 정책, 사업 혹은 어떤 조사 등을 평가하기 위한 조사를 말합니다.
평가조사가 아닌 다른 조사는 program이 왜 성공하였는가 하는 Cause 과 이유 등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지만, 평가조사는 주로 그 결과가 성공적인가를 비교적 단기적 관점에서 평가하는 것이다.
② 행동영역의 分析(분석)
본 글은 `이러한 `평가조사` 방법에 관련되어 일목요연하게 설명(說明)하고 있는 글 입니다.





Ⅱ. 평가조사의 必要性
ⅲ) 성공적인 program의 공통적인 기본원리를 발견한다. 본 글은 `이러한 `평가조사` 방법에 대해서 일목요연하게 설명하고 있는 글 입니다.
⑴ 계속평가조사
ⅴ) 서로 다른 기법들의 상대적 성공요인을 가지고 차후 program의 기초를 제공한다.
4. 대상에 의한 분류
[조사방법론] 평가조사
기초연구는 근본적으로 가설검증의 성격을 띠고 있으나, 평가조사는 평가대상의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가치’관념이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기초연구는 문제의 제기 및 확政府터 그 연구의 시발점이 되지만 평가조사는 가치형성부터 시작한다.
다. 또한 현실적으로 평가조사로 연구의 가치를 인정받게 되면 어떤 연구 혹은 program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자금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ⅰ) 평가대상이 되는 연구 또는 program의 목적들이 얼마나 잘 이룩되었는가를 판단한다.
평가조사는 거시적으로 보면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 및 각각의 학문영역에서 수행되어야 할 연구의 방향을 설정해 준다.
`평가조사`는 조사를 수행하는 과정 혹은 그것의 유용성 및 타당성을 과정상에서 평가하는 `조사평가`와는 달리, 조사의 목적 자체가 어떤 의사결정이나 정책, 사업 혹은 어떤 조사 등을 평가하기 위한 조사를 말합니다.
ⅱ) 평가대상이 되는 연구 도는 program의 성공의 요인이 무엇인가를 찾는다. 또한 보다 직접적인 평가조사의 必要性은 의사결정자들로 하여금 현재의 연구 혹은 program을 계속할 것인가 아니면 수정이 필요한가 등을 결정하는 것을 도와주는데 있다
Download : 평가조사.hwp( 68 )
⑵ 상대평가조사
평가조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Bigman).
조사를 수행하는 과정 혹은 그것의 유용성 및 타당성을 과정상에서 평가하는 조사평가와는 달리, 평가조사는 조사의 목적 자체가 어떤 의사결정이나 정책, 사업 혹은 어떤 조사 등을 평가하기 위한 조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