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 창경궁 분석.hwp
장 희빈은 주로 취선당에…(투비컨티뉴드
)
(2) 창경궁의 구조와 그 안의 유적들
1) 창경궁 경춘전
2) 창경궁 옥천교
3) 창경궁 명정전
4) 창경궁 문정전
다.
창경궁 分析
창경궁 분석 , 창경궁 분석기타레포트 , 창경궁
창경궁 分析
레포트/기타
창경궁,기타,레포트
순서
설명
Download : 창경궁 분석.hwp( 37 )
창경궁
(1) 창경궁의 歷史(역사)
창경궁은 조선 시대 5대 궁궐 중의 하나로, 서울 종로구 와룡동에 위치하여 있다
1484년(성종 15년) 당시 세조의 비였던 정희왕후, 덕종의 비였던 소혜왕후, 예종의 비였던 안순왕후를 위하여 옛 수강궁 터에 지은 궁궐이다. (수강궁은 태종이 세종에게 왕위를 물려 준 후 상왕이 되어 거처했던 곳이다. 창건 당시 건물들은 임진왜란 때 모두 불에 소실되었고, 1616년(광해군 8년) 때에도 몇 번 화재가 있어 지금 남아 있는 것은 대체로 임진왜란 후에 재건한 명정전을 비롯한 그 회랑과 그 앞문인 명정문, 창경궁의 정문인 홍화문 등과, 1834년(순조 34년) 다시 지은 숭문당, 함인전, 環境(환경)전, 경춘전, 통명전, 양화당, 집복헌, 영춘헌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사실 창건 당시에는 별로 이용되지 않다가 임진왜란 이후 경복궁, 창덕궁과 함께 불타버린 후 창덕궁과 함께 다시 지어져 조선 왕조 歷史(역사)의 주 무대가 되었다.) 창경궁은 서쪽으로는 창덕궁과 같이 있고, 남쪽으로는 종묘와 통해 있다
이 때 지은 집이 명정전, 문정전, 수녕전, 環境(환경)전, 경춘전, 인양전, 통명전과 양화당, 영휘당, 사성각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