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한국행정사] 김승동 한국행정사 요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1-08 08:35
본문
Download : 행정사.hwp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한국행정사,김승동,한국사상사,인문사회,레포트
[한국행정사] 김승동 한국행정사 요약






설명
Download : 행정사.hwp( 73 )
제1장 서설(序說), 1. 민족(民族)의 여명(黎明), 2. 신화(神話)와 신교(新敎), 3. 역싸에서 보는 한민족(韓民族)의 사상관련(思想關聯) , , 제2장 외래사상(外來思想) 이입이전(移入以前)의 사상(思想), 1. 단군신화(檀君神話)와 홍익인간(弘益人間, 2. 고대(古代) 한민족(韓民族)의 생활의식(生活意識), 3. 고유(固有)의 ‘한(韓)’의 철학, , 제3장 삼국시대(三國時代)의 사상(思想), 1. 불교(佛敎) 전래상(傳來上)으로 본 특징(特徵), 2. 고구려(高句麗)의 불교사상(佛敎思想), 3. 승랑(僧朗)의 삼론사상(三論思想), 4. 백제(百濟)의 불교사상(佛敎思想), 5. 신라(新羅)의 불교사상(佛敎思想), , 제4장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의 사상(思想) , 1. 자장(慈蔣)과 그 사상(思想) , 2. 원효(元曉)의 철학사상(哲學思想), 3. 원측(圓測)의 유식사상(唯識思想), 4. 의상(義湘)의 화엄사상(華嚴思想), 5. 신라(新羅)의 선불교(禪佛敎)의 전래와 선풍진흥(禪風振興), 6. 도선(道詵)의 도참사상(圖讖思想) , 7. 고려 이전의 유교사상, 8. 고려(高麗) 이전(以前)의 도교사상(道敎思想) , , 제 5장 고려시대(高麗時代)의 불교사상(佛敎思想), 1. 고려시대(高麗時代)의 불교사상(佛敎思想), 2. 체관(諦觀)의 천태사고의(天台四敎義), 3. 의천(義天)의 교관겸수사상(敎觀兼修思想), 4. 묘청(妙淸)의 팔성사상(八聖思想) , 5. 지눌(知訥)의 정혜쌍수사상(定慧雙手思想) , 6. 요세(了世)의 결사염불(結社念佛) , 7. 일연(一然)의 자주(自主)사상, 9. 보우(普愚)의 임제종(臨濟宗) , 9. 혜근(惠勤)의 선(禪)사상 , , 제 6장 고려시대의 유교와 도교사상(道敎思想) , 1. 고려(高麗)시대의 유교개관(儒敎槪觀), 2. 최충(崔沖)과 구재학당(九齋學堂), 3. 김부식(金富軾)과 『삼국사기』(三國史記), 4. 안향(安珦)과 주자학(朱子學) 전래 , 5. 여말(麗末) 유학의 거봉(巨峰) 이색(李穡) , 6. 정몽주(鄭夢周)와 동방이학(東方理學), 7. 고려시대의 도교개관(道敎槪觀), , 제7장. 조선초기(朝鮮初期)의 유교사상 , 1. 관학파(官學派)와 사림파(士林派), 2. 정도전(鄭道傳)과 그 사상, 3. 권근(權近)의 성리사상 , 4. 김시습(金時習)의 유불관(儒彿觀), 5. 조광조의 도학사상 , , 제8장. 성리학의 융성(隆盛)과 그 전개(展開), 1. 조선시대(朝鮮時代) 성리학의 개관(槪觀), 2. 서경덕(徐敬德)의 기일원론(氣一元論), 3. 이언적(李彦迪)의 태극론(太極論) , 4. 이황(李慌)의 이기호발론(二氣互發論), 5. 조식(曺植)의 성리론(性理論), 6. 이항(李恒)의 이기혼열일물일체설(理氣渾然一物一體說), 7. 김인후(金麟厚)의 이기혼합설(理氣混合說), 8. 기대승(奇大升)의 이기공발설 , 9. 이이(李珥)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僧一塗說), 10. 강항(姜沆)과 주자학의 일본전래 , 11. 퇴(退)·율(栗) 이후의 주리파·주기파 및 그 절충파(折衷派), 12. 호락논쟁(湖洛論爭), 13. 유기론(唯氣論)· 유리론(唯理論)및 그 절충론, , 제9장. 조선시대의 도참사상(圖讖思想)과 불교사상, 1. 조선시대(朝鮮時代)의 도참사상(圖讖思想), 2. 조선시대의 불교개관(佛敎槪觀), 3. 보우(普愚)의 선교일체설(禪敎一體說) , 4. 휴정(休靜)의 선위본(禪僞本)의 선교회통론(宣敎會通論), 5. 유정(惟政)과 그 사상, 6. 선수(善修)의 선사상(禪思想), 7. 성총(性聰)의 사상 , , 제 10장 조선시대(朝鮮時代)의 양명학(陽明學)과 실학사상(實學思想)의 전개, 1. 조선시대 양명사상의 개관(槪觀) , 2. 정제두(鄭齊斗)의 양명학사상 , 3. 실학사상(實學思想)의 개관 , 5. 이수광(李光)과『지봉유설』, 6. 류형원(柳馨遠)의 실학사상 , 7. 반주자적(反朱的的) 사상의 대두 , 8. 이익(李瀷)의 경세사상 , 9. 정약용(丁若鏞)과 그 사상, 10. 최한기(崔漢綺)의 경험주의(經驗主義) , 11. 서구사상(西歐思想)의 도입(導入)과 섭취(攝取), , , , , , reference(자료)크기 : 57K
제1장 서설(序說), 1. 민족(民族)의 여명(黎明), 2. 신화(神話)와 신교(新敎), 3. 역사에서 보는 한민족(韓民族)의 사상관련(思想關聯) , , 제2장 외래사상(外來思想) 이입이전(移入以前)의 사상(思想), 1. 단군신화(檀君神話)와 홍익인간(弘益人間, 2. 고대(古代) 한민족(韓民族)의 생활의식(生活意識), 3. 고유(固有)의 ‘한(韓)’의 철학, , 제3장 삼국시대(三國時代)의 사상(思想), 1. 불교(佛敎) 전래상(傳來上)으로 본 특징(特徵), 2. 고구려(高句麗)의 불교사상(佛敎思想), 3. 승랑(僧朗)의 삼론사상(三論思想), 4. 백제(百濟)의 불교사상(佛敎思想), 5. 신라(新羅)의 불교사상(佛敎思想), , 제4장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의 사상(思想) , 1. 자장(慈蔣)과 그 사상(思想) , 2. 원효(元曉)의 철학사상(哲學思想), 3. 원측(圓測)의 유식사상(唯識思想), 4. 의상(義湘)의 화엄사상(華嚴思想), 5. 신라(新羅)의 선불교(禪佛敎)의 전래와 선풍진흥(禪風振興), 6. 도선(道詵)의 도참사상(圖讖思想) , 7. 고려 이전의 유교사상, 8. 고려(高麗) 이전(以前)의 도교사상(道敎思想) , , 제 5장 고려시대(高麗時代)의 불교사상(佛敎思想), 1. 고려시대(高麗時代)의 불교사상(佛敎思想), 2. 체관(諦觀)의 천태사고의(天台四敎義), 3. 의천(義天)의 교관겸수사상(敎觀兼修思想), 4. 묘청(妙淸)의 팔성사상(八聖思想) , 5. 지눌(知訥)의 정혜쌍수사상(定慧雙手思想) , 6. 요세(了世)의 결사염불(結社念佛) , 7. 일연(一然)의 자주(自主)사상, 9. 보우(普愚)의 임제종(臨濟宗) , 9. 혜근(惠勤)의 선(禪)사상 , , 제 6장 고려시대의 유교와 도교사상(道敎思想) , 1. 고려(高麗)시대의 유교개관(儒敎槪觀), 2. 최충(崔沖)과 구재학당(九齋學堂), 3. 김부식(金富軾)과 『삼국사기』(三國史記), 4. 안향(安珦)과 주자학(朱子學) 전래 , 5. 여말(麗末) 유학의 거봉(巨峰) 이색(李穡) , 6. 정몽주(鄭夢周)와 동방이학(東方理學), 7. 고려시대의 도교개관(道敎槪觀), , 제7장. 조선초기(朝鮮初期)의 유교사상 , 1. 관학파(官學派)와 사림파(士林派), 2. 정도전(鄭道傳)과 그 사상, 3. 권근(權近)의 성리사상 , 4. 김시습(金時習)의 유불관(儒彿觀), 5. 조광조의 도학사상 , , 제8장. 성리학의 융성(隆盛)과 그 전개(展開), 1. 조선시대(朝鮮時代) 성리학의 개관(槪觀), 2. 서경덕(徐敬德)의 기일원론(氣一元論), 3. 이언적(李彦迪)의 태극론(太極論) , 4. 이황(李慌)의 이기호발론(二氣互發論), 5. 조식(曺植)의 성리론(性理論), 6. 이항(李恒)의 이기혼열일물일체설(理氣渾然一物一體說), 7. 김인후(金麟厚)의 이기혼합설(理氣混合說), 8. 기대승(奇大升)의 이기공발설 , 9. 이이(李珥)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僧一塗說), 10. 강항(姜沆)과 주자학의 일본전래 , 11. 퇴(退)·율(栗) 이후의 주리파·주기파 및 그 절충파(折衷派), 12. 호락논쟁(湖洛論爭), 13. 유기론(唯氣論)· 유리론(唯理論)및 그 절충론, , 제9장. 조선시대의 도참사상(圖讖思想)과 불교사상, 1. 조선시대(朝鮮時代)의 도참사상(圖讖思想), 2. 조선시대의 불교개관(佛敎槪觀), 3. 보우(普愚)의 선교일체설(禪敎一體說) , 4. 휴정(休靜)의 선위본(禪僞本)의 선교회통론(宣敎會通論), 5. 유정(惟政)과 그 사상, 6. 선수(善修)의 선사상(禪思想), 7. 성총(性聰)의 사상 , , 제 10장 조선시대(朝鮮時代)의 양명학(陽明學)과 실학사상(實學思想)의 전개, 1. 조선시대 양명사상의 개관(槪觀) , 2. 정제두(鄭齊斗)의 양명학사상 , 3. 실학사상(實學思想)의 개관 , 5. 이수광(李光)과『지봉유설』, 6. 류형원(柳馨遠)의 실학사상 , 7. 반주자적(反朱的的) 사상의 대두 , 8. 이익(李瀷)의 경세사상 , 9. 정약용(丁若鏞)과 그 사상, 10. 최한기(崔漢綺)의 경험주의(經驗主義) , 11. 서구사상(西歐思想)의 도입(導入)과 섭취(攝取), , , , , , FileSize : 57K , [한국행정사] 김승동 한국행정사 요약인문사회레포트 , 한국행정사 김승동 한국사상사
제1장 서설(序說) . 민족(民族)의 여명(黎明) 우리 한민족 - 독자적인 文化(문화)민족인 동이(東夷)족. 동이란 동방민족(東方民族)이라는 뜻. 대표적인 상고의 동이 - 중국(中國)의 산동, 강소, 안휘, 등, 회수 이북연해에 거주하던 구이(九夷). 중국(中國)의 산동, 강희의 각 지방 - 적신, 예인, 양이, 발인, 유인, 백민 등이 있었음. 하북, 산서의 북 - 고이, 고죽이 있었음. -> 동이와 예맥족의 관계는 명백하지 않고 예맥은 광의의 동이라 할 것이며, 연의 북방, 해안지방에 살던 맥족은 다시 이동하여 부여 혹은 한반도의 고구려, 동예, 옥저, 백제 등이 되었고, 이들 모두 예맥족임. 본거지는 송화강과 요하의 평야로서 중국(中國)과 발해연안, 강회지방까지 분포하여 우리 민족의 여명기를 맞이함.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