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업역학] 대표적 트러스트 구조 조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1-06 21:44
본문
Download : [공업역학] 대표적 트러스트 구조 조사.hwp
또한 교각은 아래쪽으로 내려갈수록 넓어져 안정감을 주는 홀바인의 앙버팀이라는 구조를 사용했으며, 최초의 설계자는 티교를 설계한 바우치였지만, 티교의 붕괴이후 바우치의 현수교안 대신 파울러와 베이커의 캔틸레버 강트러스안이 채택되었다.
![[공업역학]%20대표적%20트러스트%20구조%20조사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C%97%85%EC%97%AD%ED%95%99%5D%20%EB%8C%80%ED%91%9C%EC%A0%81%20%ED%8A%B8%EB%9F%AC%EC%8A%A4%ED%8A%B8%20%EA%B5%AC%EC%A1%B0%20%EC%A1%B0%EC%82%AC_hwp_01.gif)
![[공업역학]%20대표적%20트러스트%20구조%20조사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C%97%85%EC%97%AD%ED%95%99%5D%20%EB%8C%80%ED%91%9C%EC%A0%81%20%ED%8A%B8%EB%9F%AC%EC%8A%A4%ED%8A%B8%20%EA%B5%AC%EC%A1%B0%20%EC%A1%B0%EC%82%AC_hwp_02.gif)
![[공업역학]%20대표적%20트러스트%20구조%20조사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C%97%85%EC%97%AD%ED%95%99%5D%20%EB%8C%80%ED%91%9C%EC%A0%81%20%ED%8A%B8%EB%9F%AC%EC%8A%A4%ED%8A%B8%20%EA%B5%AC%EC%A1%B0%20%EC%A1%B0%EC%82%AC_hwp_03.gif)
![[공업역학]%20대표적%20트러스트%20구조%20조사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C%97%85%EC%97%AD%ED%95%99%5D%20%EB%8C%80%ED%91%9C%EC%A0%81%20%ED%8A%B8%EB%9F%AC%EC%8A%A4%ED%8A%B8%20%EA%B5%AC%EC%A1%B0%20%EC%A1%B0%EC%82%AC_hwp_04.gif)
![[공업역학]%20대표적%20트러스트%20구조%20조사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C%97%85%EC%97%AD%ED%95%99%5D%20%EB%8C%80%ED%91%9C%EC%A0%81%20%ED%8A%B8%EB%9F%AC%EC%8A%A4%ED%8A%B8%20%EA%B5%AC%EC%A1%B0%20%EC%A1%B0%EC%82%AC_hwp_05.gif)
![[공업역학]%20대표적%20트러스트%20구조%20조사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C%97%85%EC%97%AD%ED%95%99%5D%20%EB%8C%80%ED%91%9C%EC%A0%81%20%ED%8A%B8%EB%9F%AC%EC%8A%A4%ED%8A%B8%20%EA%B5%AC%EC%A1%B0%20%EC%A1%B0%EC%82%AC_hwp_06.gif)
공업역학,대표적,트러스트,구조,기타,레포트
[공업역학] 대표적 트러스트 구조 조사
Download : [공업역학] 대표적 트러스트 구조 조사.hwp( 71 )
[공업역학] 대표적 트러스트 구조 조사 , [공업역학] 대표적 트러스트 구조 조사기타레포트 , 공업역학 대표적 트러스트 구조
설명
레포트/기타
공업역학
대표적 트러스트 구조 조사
○ Firth of Forth Bridge (Scotland)
ㅇ 길이 : 2,530m
ㅇ 형하고(Clearance) : 48m
ㅇ 수면으로부터 주탑의 정점까지 높이 :137m
ㅇ 투입된 철강의 총량 54,160톤
ㅇ 리벳 총수 650만개, 4,200톤
ㅇ 도장면적 : 58ha
영국 스코틀랜드의 에든버러 북해와 접한 포스만에 위치한 철도교로서 1890년에 완공되었고 에펠탑과 더불어 19세기를 대표하는 철구조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포스교는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강철이라는 당시의 신소재를 사용한 교량이다.
참고로 캔틸레버 트러스란 …(생략(省略))
[공업역학] 대표적 트러스트 구조 조사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