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정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25 19:44
본문
Download : 언어정책.hwp
언어정책 , 언어정책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사용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합니다. 1933년에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발표하고, 1936년에는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을 발표해서 근대 표준어의 기초를 만들었다.
다. 그러나 60년대에 들어서 북한에서는 그 동안 써 오던 `조선어 철자법`을 개정, 66년에 발표된 `조선말규범집`에 의해 남북의 언어 차이는 확대되었다.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Download : 언어정책.hwp( 42 )
언어정책
,인문사회,레포트




1.언어정책 약사 1p 우리 나라 사람에 의한 우리 말의 언어정책은 해방전에 조선어학회(지금의 한글학회)가 큰 역할을 했다.
2. 맞춤법의 차이
2.1 자모의 명칭과 순서남한에서는 훈몽자회에서의 명칭에 의거해서 `기역, 니은, 디귿, 리을, 미음, 비읍, 시옷…`과 같이 부르지만, 북한에서는 `ㅣ으`소리를 이용해서 `기윽, 니은, 디으ㄷ, 리…(drop)
2.3 `어`와 `여`
언어정책
사용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합니다. 1954년에 북한에서는 `조선어 철자법`을 발표했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해방후에도 남북에서는 한동안 이 재산을 승계했다. 북한에서는 해방 직후부터 한자를 전폐하고 한글 전용을 실시했기 때문에 그것에 수반된 갖가지 문제의 대처법이 남한보다 일찍부터 연구되어 온 모양이다. 그 집대성이 66년 `규범집`이라고 할 수 있다아 `규범집`은 87년에 개정되었지만 큰 변화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