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China)철학, 인도철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04 22:44
본문
Download : 중국철학, 인도철학.hwp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2. 맹자
가. 성선설
- 인간의 본성은 착하다는 주장. 인간의 천성은 오직 선한 것만을 따른다.제_1_부_중국(China)철학
,인문사회,레포트
중국(China)철학, 인도철학






Download : 중국철학, 인도철학.hwp( 44 )
순서
중국철학과 인도철학에 대해 자세하게 정리되어있습니다. 그리하여 인간이 올바른 길을 가기 위해서는 이 내재적인 것을 이끌어내기만 하면 됨
- 인간에게 네 가지 착함의 시초가 있는데 측은지심(惻隱之心)은 인(仁)의 단(端)이요, 수오지심(羞惡之心)은 의(義)의 단(端)이요, 사양지심(辭讓之心)은 예(禮)의 단(端)이요, 시비지심(是非之心)은 지(知)의 단(端)이라.
-이 세상에는 왜 그렇게 악한 일이 많이 일어나는가?
사람의 마음도 밤낮을 가리지 않고 자라나고 새벽의 청명한 기운을 받아 착한 싹이 돋아나지만, 낮에 일어나는 혼잡한 일 때문에 다시 교란되어 없어지고 만다. 물론 사람이 착하지 못한 일을 할 수도 있으나 그것은 후천적인 욕심에 마음이 흐려졌기 때문이지 결코 인간본성의 죄가 아닌 것이다. 정치론
라. 평가
중국(China)철학과 인도철학에 대해 자세하게 정리(整理) 되어있습니다.
나. 수양론(修養論)
맹자는 우리가 착한 본성의 씨앗을 잘 보존하고 확충하는 방법으로 존심양성(存心養性)의 수양을 들고 있음 - 욕망 등에 의하여 본심을 그 본연의 상태를 유지하며 선천적으로 내재하는 도덕성을 기르는 것-외부의 유혹에도 흔들리…(투비컨티뉴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