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소송법상 피고경정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21 12:33
본문
Download : 피고경정1.hwp
2. 민사소송과의 차이
민사소송의 경우에는 피고가 본안에서 변론을 한 후에는 그의 동의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피고경정이 가능한 반면, 행정소송의 경우에는 그러한 제한이 없다.Download : 피고경정1.hwp( 55 )
설명
- 프리뷰를 참고 바랍니다. 논리상으로는 권리.의무의 귀속주체인 국가나 공공단체가 피고가 되어야 할 것이나, 소송수행의 편의상 행정청을 피고로 하고 있다아
Ⅲ. 권한의 승계 및 폐지의 피고경정
1. 권한 승계의 경우 : 승계한 행정청처분…(투비컨티뉴드 )
Ⅳ. 잘못 지정한 피고의 경정
1) 사실심 계속 중일 것
2) 피고를 잘못 지정하였을 것
3) 새로운 피고의 정당성 여부
4) 피고를 정하는데 있어 원고의 고의.과실 여부는 묻지 않는다. 이는 항고소송과 당사자소송에서 인정되며, 피고를 잘못 지정함으로써 원고가 입게 될 불측의 손해를 막기 위함이다.
Ⅴ. 소의 변경으로 인한 피고경정
Ⅵ. 피고경정이 효능
레포트/법학행정
행정소송법상 피고경정에 대하여
다.
피고경정1 , 행정소송법상 피고경정에 대하여법학행정레포트 , 피고경정
피고경정,법학행정,레포트


순서
피고경정1
행정소송법상 피고경정에 대하여
Ⅰ. 들어가며
1. 의의피고경정이란 소송의 계속 중에 피고로 지정된 자를 다른 자로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