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에서 본 인간과 세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30 15:36
본문
Download : 무에서 본 인간과 세계.hwp
그리고 그것이 다 지난 다음의 종결과정이라 할 수 있는 뒷전거리는 다시 세속으로 되돌아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강신무들이 주제하는 굿에서 행해지는 ‘무감서기’라는 과정은 굿의 정식 순서…(To be continued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이러한 굿의 절차를 그 의미로써 본다면, 준비과정은 세속에서 성스러운 장소에로의 전환을 뜻하는 것이며, 그 다음의 거리과정들은 모두 신들이 배석... , 무에서 본 인간과 세계인문사회레포트 ,






무에서 본 인간과 세계
Download : 무에서 본 인간과 세계.hwp( 15 )
다. 그것은 살아오면서 알게 모르게 맺어왔던 총체적인 갈등이다. 말하자면 그 신성공간 속에서 할 수 없던 일을 할 수 있게 되고 이루어질 수 없던 것을 이룰 수 있다고 믿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굿을 통해서 해소되는 것은 다름 아닌 삶의 갈등이다. 이러한 굿의 절차를 그 의미로써 본다면, 준비과정은 세속에서 성스러운 장소에로의 전환을 뜻하는 것이며, 그 다음의 거리과정들은 모두 신들이 배석...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이러한 굿의 절차를 그 의미로써 본다면, 준비과정은 세속에서 성스러운 장소에로의 전환을 뜻하는 것이며, 그 다음의 거리과정들은 모두 신들이 배석하는 자리가 되는 것이다. 그것은 곧 굿의 참여자들로 하여금 굿이 처음 됨과 더불어 신성공간 속으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이지러지고 닫히고 얽힌 현실의 문제들이 저절로 펴지고 풀리도록 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또 다른 의미에서 본다면 굿은 어떤 실질적인 목적을 추구하고 그 의례의 effect를 기대하는 종교적 제의이지만, 단지 종교적 제의로서의 기능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흥겨운 오락적 놀이이며 또한 억제된 감정을 표출하는 장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