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사 - 일제에 의한 경복궁 훼손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20 11:05
본문
Download : 근현대사 - 일제에 의한 경복궁 훼손.hwp
근현대사,일제에 의한 경복궁 훼손,경복궁
▲ 첫번째 시련
Download : 근현대사 - 일제에 의한 경복궁 훼손.hwp( 88 )
1. 시작하는글
2. 경복궁의 시련
▲ 신무문을 향하면서..
다.
근현대사 - 일제에 의한 경복궁 훼손에 관하여
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 첫 번째 시련.
▲ 강녕전과 교태전
3. 경복궁의 훼손.
1. 시작하는글 2. 경복궁의 시련 ▲ 첫번째 시련 ▲ 왕실의 존엄을 다시 세우다. ▲ 다시 시작되는 시련.
▲ 그 외 건물터.
- 경복궁이 日本 에 의해 처음으로 시련을 맞은 때는 임진왜란 때이다. 방화설이 더욱 압도적인데 그에 대한 기록을 찾아보았다. 군자 만년에 큰 복이 있으라고 이름붙인 경복궁은 이후로 많은 시련을 겪게 된다. ▲ 다시 시작되는 시련. 3. 경복궁의 훼손. ▲ 광화문 ▲ 강녕전과 교태전 ▲ 그 외 건물터. ▲ 건청궁을 돌아보며. ▲ 신무문을 향하면서.. 4. 답사를 마치고..
▲ 광화문
▲ 건청궁을 돌아보며.
설명





4. 답사를 마치고..
2. 경복궁의 시련
▲ 왕실의 존엄을 다시 세우다. 조선왕조의 흥망성쇠를 같이 한 경복궁을 둘러보면서 경복궁이 日本 에 의해 겪은 시련을 조사한 것을 서술하고자 한다. 태조 때 정도전은 china(중국) 의 ‘시경’<주아>의 한구절인 “이미 술에 취하고, 이미 덕에 배불렀으니 군자 만년에 큰 복이 있으리라”에서 경복(景福)을 따 경복궁이라 이름 지었다.
경복궁은 태조 3년(1394년 10월)에 한양으로 도읍을 옮기고 공사를 스타트하여 1395년 9월에 완공한 조선왕조의 법궁 이다. 1592년 임진왜란 중에 화재에 의해 경복궁은 소실되었는데, 조선 왕조 실록 에도 화재 原因에 대한 명확한 기록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