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물리test(실험) -탄동진자에 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05 04:55
본문
Download : 기초물리실험-탄동진자에 대해.hwp
⑤ 탄동진자를 발사총구 정면에 흔들리지 않게 두고 각도기를 0점으로 맞춘다.
2. theory(이론)
3. 실험방법
⑦ ②~⑥까지의 실험을 여러 번 반복하고 平均(평균)값을 표에 기록한다.)을 확인 할 수 있다.
1. test(실험) 목적
⑨ 발사대의 스프링을 medium, long으로 변화시켜 가면서 실험 ②~⑦을 반복한다.
장치 - 발사대, 탄동진자 액세서리, 쇠공, 플라스틱 공, 저울, 자, 회전운동 센서
탄동진자,탄환,운동량보존법칙,에너지보존법칙
설명
① 그림과 같이 실험장치를 설치한다.
② 회전축에서 질량중심까지의 길이 (R)를 측정(measurement)한다.
질량인 탄알을 질량인 탄동진자에 수평방향으로 속도 로 쏘면 충돌 전 공의 운동량은 충돌 후 탄동진자+탄알의 운동량과 같아지며, 운동량보존법칙(충돌 전후 운동량이 보존된다된다.
Download : 기초물리실험-탄동진자에 대해.hwp( 16 )
기초물리test(실험) -탄동진자에 대해
⑧ 진자의 질량(M)을 변화시켜 가며 실험 ②~⑦을 반복한다.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⑥ 발사한 후에 공의 속도(v)와 최대각도()를 측정(measurement)한다. 이때 공이 용수철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
1. 실험목적 탄동진자를 사용하여 운동량보존법칙과 에너지보존법칙으로부터 탄환의 초기속도를 유도한다.
탄동진자를 사용하여 운동량보존법칙과 에너지보존법칙으로부터 탄환의 초기속도를 유도한다.
⑩ 플라스틱 공을 사용하여 실험 ②~⑨의 과정을 반복한다.)을 확인 할 수 있다. 진자에 쇠공이 들어갔을 때의 쇠공의 중심이 바로 질량 중심이 된다
포토게이트에서 측정(measurement)한 진자의 속도가 회전운동센서에서 측정(measurement)한 각도를 이용하여 계산한 진자의 속도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것을 볼 수 있따 이는 공고정대의 단면적이 커 진자가 올라갈 때 공기저항을 많이 받아 올라가는 최대 높이가 줄어들어서 그렇다. 이때 탄동진자를 끝까지 밀어 올려 고정시킨 후 쇠공을 넣어야 한다. 2. 이론 질량인 탄알을 질량인 탄동진자에 수평방향으로 속도 로 쏘면 충돌 전 공의 운동량은 충돌 후 탄동진자+탄알의 운동량과 같아지며, 운동량보존법칙(충돌 전후 운동량이 보존된다.
순서
④ 발사총에 쇠공을 short가 되게 넣는다. ③ 진자의 질량(M)과 쇠공의 질량 (m)을 측정(measurement)하여 표에 기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