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결과-줄의진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07 17:19
본문
Download : 물리결과-줄의진동.hwp
1)가는 줄의 진동 ①주파수 변화(길이와 장력 고정)에 따른 줄의 진동 줄을 진동시키면서 정상파가 일어나는 부분을 0.1Hz단위로 찾으면서 정상파의 파형과 가장 유사한 곳을 찾았다.
②길이變化(변화)(주파수와 장력 고정)에 따른 줄의 진동
①주파수 change(변화)(길이와 장력 고정)에 따른 줄의 진동
진동수는 고정시키고 줄의 길이를 바꿔서 식의 변형을 통해 이 식을 얻었고 진동수 f을 고정시켜서 n과 L의 비 값을 통해 선밀도를 구했다. 사람의 눈으로 정상파인지 아닌지를 observation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실제로 정상파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정상파 진동수로 측정(測定) 했을 가능성도 있다아 그리고 진동할 때 고정된 줄 뿐만 아니라 도르래 밑의 줄과 진동추 자체도 흔들려서 주어진 진동수의 에너지가 모두 고정된 줄에 가해지지 못했다. 따라서 줄에 장력이 가해져 길이가 늘어나게 되면 선밀도 또한 달라진다.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굵은 줄로 바꿔서 ①번 test(실험) 을 수행했다. 가는 줄에 비해서 정상파의 모습이 더 잘 보였다. 그리고 최대 진폭일 때를 찾아서 정상파임을 판별해야 했는데, 이 과정이 상당히 주관적이었다.
그리고 사실 줄은 강체가 아니기 때문에 선밀도가 일정하지 않다.
물리결과-줄의진동
위의 식을 얻었고 길이 L을 고정시켜서 n과 f의 비 값을 통해 선밀도를 구했다. 그리고 줄이 위아래로만 움직이지 않고 좌우로도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다.
줄을 진동시키면서 정상파가 일어나는 부분을 0.1Hz단위로 찾으면서 정상파의 파형과 가장 유사한 곳을 찾았다. 기본 진동수를 찾은 뒤 그 진동수의 2, 3배로 설정하여 정상파가 생김을 observation했기 때문이다.
설명
역시 ①번 test(실험) 과 비슷한 原因으로 인한 오차가 발생했다. 따라서 정확하지 않은 진동수 측정(測定) 이 오차를 가져왔을 것이다.
①번 test(실험) 에서와 마찬가지 이유로 오차가 발생하였다. 또한 observation 과정에서도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①번에 비해 큰 오차가 발생했는데 그 이유는 파형구동자를 움직이자 고정되지 않은 줄도 함께 진동하는 걸 발견할 수 있었다. 결국 파형구동자의 에너지가 모두 줄로 전해지지 않고 일부 손실된 것이다.
Download : 물리결과-줄의진동.hwp( 75 )
약 14%의 오차가 발생했는데 그 이유로는 측정(測定) 값으로는 n과 f가 정비례로 나왔지만 이는 사실 정확한 측정(測定) 값이 아니다.
순서
줄의진동,진동
1)가는 줄의 진동





다. 따라서 정확한 test(실험) 을 위해서는 각각의 진동수를 따로따로 찾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