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 노동법] 근로기본권(노동기본권)에 관한 법적 쟁점 요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20 22:26
본문
Download : 20091201 근로기본권 .hwp
/ 이 문서는 편집 가능! 1. 문의사항 2. 요청사항 partner1022yk@gmail.com 레포트 메일주세요^^ [참고자료] 노동법, 이상윤(2008) 노동법, 김형배(2009)
4. 단체행동권
(4) 여성근로자의 보호와 차별대우의 금지
(나) 근로삼권을 헌법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제한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견해 대립
2) 경영권 관념의 실체 여부에 관한 견해 대립
다) 사견
(3) 사견
(나) 제한부정설
③ 사견
2) 생존권설
근로자의 근로기본권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헌법상 권리는 헌법 제23조 제1항의 재산권의 보장이다.”라고 하여 경영권의 실체를 헌법상 권리로 인정하고 있다.
Ⅴ. 현재 우리나라의 노사관계 현실과 展望(전망)
(5) 연소자의 근로보호
3. 근로의 권리의 법적 성질
① 특별권력관계설 ② 국민전체봉사자설
1. 근로삼권의 의의
가) 부정설
(1) 근로삼권의 내재적 한계
1) 소극적 관념 2) 적극적 관념
2) 근로삼권의 제한
Ⅱ. 근로기본권
1) 자유권설
최근에는 근로자의 경영참가권을 인정하려는 움직임이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근로자의 경영참가권에 대하여 헌법에서 아무런 규정도 두지 아니하며,
3) 개별적 단결권과 집단적 단결권
(1) 단결권중심론 (2) 단체교섭권중심론
(1) 근로삼권상호연계론 (2) 근로삼권상호무관론
Ⅳ. 근로삼권
(가) 이론적 근거에 대한 여러 가지 견해.
(3) 사견
가) 공무원에 대한 근로삼권의 제한
2) 파생적 내용
(2) 근로삼권의 외재적 한계
5. 근로의 권리의 효력
[참고資料] 노동법, 이상윤(2008)
(3) 근로삼권제한의 效果(효과)
(1) 적극적 단결권과 소극적 단결권의 관념
[법학, 노동법] 근로기본권(노동기본권)에 관한 법적 쟁점 요약
③ 직무성질설
나) 소극적 단결권 부정설
/
1. 근로기본권의 의의
(가) 의의
(2) 국가의 적정ㆍ최저임금의 보장
(1) 의의
나) 긍정설
1) 자유권설 2) 생존권설 3) 합권설 4) 사견
4) 적극적 단결권과 소극적 단결권
1) 근로삼권상호연계론과 근로삼권상호무관론
다) 사견
(2) 법적 권리로서 구체적 권리설
5. 근로삼권의 상호관계
가) 소극적 단결권 긍정설
(1) 경영권 긍정설 (2) 경영권 부정설 (3) 사견
근로기본권이라 함은 근로자에 대하여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기본권으로서 헌법 제32조의 근로의 권리와 헌법 제33조의 근로삼권 등을 포괄하여 지칭하는 관념이다.
2) 경영권 관념의 실체 여부에 관한 견해 대립
(1) 근로기회청구권 (2) 생활비지급청구권
2) 대사인적 효력
2) 단결권중심론과 단체교섭권중심론
(2) 대사인적 효력 인정 여부에 대한 견해 대립
(가) 완전부정설
/
(1) 국가의 고용증진 의무
6. 근로삼권의 법적 성질
3) 사견
노동법, 김형배(2009)
2. 근로의 권리의 주요내용
설명
4. 근로의 권리의 주체
report 메일주세요^^
순서
1. 근로의 권리의 관념
라) 비상사태 등에 의한 제한
1) 의의
① 긍정설 ② 공공복리를 위한 제한부정설
(1) 법적 권리로서 추상적 권리설
(가) 직접적용설 (나) 간접적용설
나) 주요방위산업체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단체행동권 제한
Ⅰ. 서론
(3) 근로조건의 법정화
1. 문의사항
1) 본원적 내용
(6) 국가유공자ㆍ유가족 등의 근로기회보장
「근로자참여및협력증진에관한법률」에서 소극적 의미의 경영참가를 인정하고 있을 뿐이다. 근로자의 근로기본권과 사용자의 재산권ㆍ경영권은 서로 조화와 균형을 이루면서 행사되어야 한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8. 근로삼권의 효력
1) 대국가적 효력 2) 대사인적 효력
Ⅲ. 근로의 권리
(2) 소극적 단결권의 헌법적 근거, 근로자에 대한 단결강제의 인정 여부에 대한 견해 대립
partner1022yk@gmail.com
2. 요청사항
9. 근로삼권의 제한 및 한계
2) 단결권과 결사의 자유
7. 근로삼권의 주체
근로기본권, 노동기본권을 자세하게 목차와 주요내용으로 정리하였습니다. 헌법 제23조 제1항의 재산권보장, 헌법 제119조 제1항의 사유재산제도 보장, 헌법 제15조의 직업 선택의 자유에서 근거를 둔다.
이 문서는 편집 가능!
최근 대법원 판례도 상기 헌법조항을 근거로 “헌법 규정들의 취지를 기업 활동의 측면에서 보면 모든 기업은 그가 선택한 사업 또는 영업을 자유롭게 경영하고 이를 위한 의사결定義(정이) 자유를 가지며, 사업 또는 영업을 자유롭게 경영하고 이를 위한 의사결定義(정이) 자유를 가지며, 사업 또는 영업을 변경하거나, 처분할 수 있는 자유를 갖고 있고 이는 헌법에 의하여 보장되는 것이다. 근로자의 근로기본권의 행사는 사용자의 재산권ㆍ경영권의 제한을 정당화 할 수 있으나 재산권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나) 근로삼권의 제한내용
(1) 개별적 단결권 (2) 집단적 단결권 (3) 양자의 관계
1) 근로자 개인 2) 노동조합 3) 사용자
1) 대국가적 효력
① 일반적 단결강제설 ② 제한적 단결강제설
2. 단결권
1) 협의의 단결권과 광의의 단결권
Download : 20091201 근로기본권 .hwp( 27 )





(1) 경영권 긍정설
2. 근로기본권의 이념적 원리
3. 단체교섭권
1) 개요
다.
1) 국민 및 근로자 2) 외국인 및 법인
다) 헌법 제37조 제2항에 의한 근로삼권의 제한
근로기본권, 노동기본권을 자세하게 목차와 주요내용으로 요약하였습니다. 이를 통틀어 경영권이라 부른다.
사용자의 경영권은 헌법에 명문으로 규정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과연 경영권이 헌법상 권리인지의 여부에 관하여 문제가 된다.
노동법 총론, 근로기본권, 노동기본권, 근로의 법적성질
비록 헌법에 경영권을 인정하는 명문의 규정은 없으나 경영권은 헌법상의 권리라는 견해이다. 근로자들이 기업의 경영ㆍ자본 및 이윤배분 등에 참여할 수 있는 법적 권리를 지칭하며, 이는 사용자의 재산권보호에 대한 헌법상 원리에 커다란 수정을 가져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