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학] 자산과 부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9 12:30
본문
Download : 자산과부채.hwp
(중략)
제1절 자산
다.
자산과 부채에 마주향하여 일목요연하게 설명(explanation)하고 있는 글입니다.
⑶경제적 효익은 과거의 거래나 사건의 결과로서 발생된 것이어야 한다.
未來의 경제적 효익: 특정자원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未來에 현금유입을 증가시키거나
◦과거의 거래나 사건의 결과로서 관련의무가 현재시점에서 존재하여야 한다.
2. 특징





⑴특정실체에 influence(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사건 중 자산으로 분류되기 위해서는 未來의 경제적
1. 부채의 정의
[회계학] 자산과 부채
⑶현행산출가격(current output price)
1. 자산(asset)이란
있는 未來의 경제적 효익(future economic benefits) - SFAC NO.6
1. 자산(asset) : 과거의 거래나 경제적 사건의 결과로서 특정실체가 취득했거나 통제할 수
⑵특정실체가 배타적으로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자산과 부채, 자산, 부채, 자본, asset
⑴ 최종상환금액에 의한 평가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부채인식 당시에 반기시점의 지급금액 또는 지급시기, 채권자가 반드시 확정될 필요가 없다.설명
1. 부채의 정의 : 과거의 거래나 사건의 결과로서 未來에 다른 기업에게 자산이나 용역을 이전해야
Download : 자산과부채.hwp( 43 )
⑴역사적 원가(historical cost) = 취득원가(acquisition cost)
⑵현재가치에 대한 평가
순서
⑵현행투입가격(current input price) = 현행원가(current cost)
⑷자산의 효익은 화폐단위로 계량화 또는 측정(測定) 을 할 수 있어야 한다.
2. 특징
3. 부채의 평가(liability valuation)
현금지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능력
⑶부채의 평가
[목차]
자산과 부채에 대해서 일목요연하게 설명하고 있는 글입니다.
[본문일부]
⑸저가법(lower-of-cost-or-market method)
⑷未來현금흐름의 원가(present value of future cash flows)
◦법적인 의무뿐만 아니라 예상되는 인정의무(constructive obligation)까지 포함
제2절 부채
2. 자산의 평가
하는 현재의 의무로부터 발생된 未來의 경제적 효익의 희생(SFAC NO.6)
효익(용역잠재력: service potentials)이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