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령론과 현대신학 - 생명理論(이론)의 신학적 전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31 17:27
본문
Download : 성령론과 현대신학 - 생명이론의 신학적 전거.hwp
즉 구원과 교회론에 강조점을 두어왔던 서방교회가 필리오케 곧 그리스도의 영 만을 선택함으로써 아버지의 영과의 관계성을 상실해 버렸다고 하는 것이다. 이것이 동방기독교와는 달리 서방교회로 하여금 인간중심적, 교회중심적인 신학노선을 걷게 하였으며 자연및 인간외적인 생명체에 대해 신학적 관심을 허용하지 않았던 직접적 이유라고 생각한다. 다음 장에서 우리는 지난 켄버라대회를 통해 동방교회의 성령론이 어떤 형태로 평가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오히려 자연에대한 관심 자체를 숩게 물활론 내지는 범신론으로 배척하곤했던 서방기독교는 그렇기에 적어도 오늘 생태학적 위기상황 속에서 자신의 성령론에 대한 근본적 반성을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부언하자면 필리오케로 인해 서방교회는 오늘에 이르기까지 창조와 구원의 철저한 비연속성, 그리스도의 영과 루아하(ruah)와의 단절은 오히려 자신의 신학적원리로 삼아왔다는 사실이다. 성령론의 교회사적 출처 - 켄버라대회 이전까지의 前史, 둘째 켄버라대회의 성령온 - 동방교회 및 아시아적 전통의 재발견
다.
…(省略)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켄버라대회를 통해 부각된 생명理論(이론)의 전거로서의 성령론을 다음의 순서를 따라 탐구해 보려고 한다. 이런 상황속에서 동방교회의 성령론에 대한 관심이 증폭된다고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 아닐수 없다.
Download : 성령론과 현대신학 - 생명이론의 신학적 전거.hwp( 49 )
켄버라대회를 통해 부각된 생명이론의 전거로서의 성령론을 다음의 순서를 따라 탐구해 보려고 한다. 성령론의 교회사적 출처 - 켄버라대회 이전까지의 前史, 둘째 켄버라대회의 성령온 - 동방교회 및 아시아적 전통의 재발견 , 성령론과 현대신학 - 생명이론의 신학적 전거인문사회레포트 ,
성령론과 현대신학 - 생명理論(이론)의 신학적 전거






순서
이로부터 우리는 마지막으로 서방기독교의 성령론, 곧 필리오케의 problem(문제점)을 샐각해 보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