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 김일성(金日成, 1912 4 15 ~ 1994 7 8).hwp
다음의 그에 대한 생전의 우상화 내용과 방법들 가운데 몇 가지를 살펴본 것이다.
Download : 김일성(金日成, 1912 4 15 ~ 1994 7 8).hwp( 98 )
설명
발표문
김일성의 생애와 정치인을 만든 요인에 관련되어 설명했습니다.발표문 , 김일성(金日成, 1912. 4. 15 ~ 1994. 7. 8)인문사회레포트 ,
Ⅱ. 김일성이라는 정치인을 만든 요인(요소)
1. p(private motive) : 가족관계나 유 · 소년기의 자아와의 관계에서 육성 · 조직화되어 가는 개인의 사적 동기를 나타낸다.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다. 여기서는 김일성의 권력 획득과정에서 일어난 반대파숙청과 우상화(신격화)를 논의하기로 한다.
(1) 김일성 우상화(신격화) : 김일성은 통치 46년간, 영화와 함께 우상화 · 신격화로 절대절명의 신의 자리에까지 올라간 사람이었다. 사적 동기는 가족관계나 유・소년기에 성립되는 것이므로 4대째 내려오는 종손집안의 장남으로서의 김일성은 특별한 책임과 권리가 부여되었을 것이다. 그가 죽은지 몇 년이 지난후에도, “수령님은 영원히 우리와 함께”, “수령님은 오늘도 일하고 계신다”등의 노래와 시를 지어 주민들에게 보급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1) 권력욕
김일성의 사적 동기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태에서, 우리는 김일성의 권력욕이 사적 동기라는 가정 하에 형성과정을 설명(說明)하려 한다. 다시말해 주체교(主体敎)라는 이름으로 김일성은 교주였고 2천만의 신도들은 모두가 맹신도였던 것이다. 또, ⑤ 보다 사회적 관습과 전통과 민감하고, 권위에 의해 강요되는 질서에 대해 덜 저항적이며, 보다 야망 있고 근면하며 협동적이나, 죄책감에 빠지기 쉽지만 공개적으로 공격성을…(투비컨티뉴드
)
2. d(displacement into a public object) : 사적 동기를 공적 목표(目標)에로 전위시키는 것을 말한다.
김일성(金日成, 1912. 4. 15 ~ 1994. 7. 8)
김일성의 생애와 정치인을 만든 요인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근거로서 들만한 것이 유아심리학의 장남의 관한 연구인데, 일반적으로 장남은 ① 부모의 가지관을 지향하고 동년배보다는 부모세대와 자신을 일치시키는 影響을 가지며, ② 동생이 태어나면 부모의 관심이 줄어들지 않을까 매우 근심하게 되고, ③ 자신의 지위와 나이에 따라 주어지는 특권 등을 갖게 되며, ④ 부모들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가치관이나 성격에 따르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