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 조선성리학의 성립과 사단칠정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26 17:53
본문
Download : 조선성리학의 성립과 사단칠정론.hwp
그리고 이황보다 한 세대 후인 선조대에 율곡 이이가 출현한다. 이황의 『주자서절요』와 기대승의 『주자문록』은 주자학에 대한 학습이 얼마나 정밀한 것이었는가를 잘 보여주는 작품들이다. 중종후기에는 권습(權習) 조식(曺植) 서경덕(徐敬德)등이 등장하며, 명종 대에는 이언적(李彦迪) 이황 기대승(奇大升)등 100여명에 이르는 학자들이 학문 활동을 통하여 연구 업적을 남기고 있다아 이 시기에 『주자대전』이 수입되어 성리학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게 된다된다. 이렇게 본다면 현상윤이 조선성리학의 육대가(六大家)로 거론한 서경덕, 이황, 이이, 기정진, 이진상, 임성주 가운데 그 절반이 이 시기에 몰려 있는 셈이 된다된다. 사림들이 혹독한 시련…(省略)
조선성리학의 성립과 사단칠정론
순서
,경영경제,레포트
조선성리학의 성립과 사단칠정론조선성리학의성립과사단칠정론 , 조선성리학의 성립과 사단칠정론경영경제레포트 ,
레포트/경영경제
조선성리학의 성립과 사단칠정론






설명
Download : 조선성리학의 성립과 사단칠정론.hwp( 42 )
다. 16세기는 이른바 사대사화로 불리우는 무오사화(연산군 4년, 1498년) 갑자사화(연산군 10년, 1504년) 기묘사화(중종14년, 1519년) 을사사화(명종 즉위년, 1545년) 가운데 3회의 사화가 일어난 시기이다.
조선성리학의성립과사단칠정론
16세기 초에 해당하는 중종초기에 기묘사림(己卯士林)으로 불리우는 조광조등이 중앙정계에 진출하여 성리학적 이념을 현실사회에 정치적으로 구현하고자 진력하였으나 중종14년(1519년) 기묘사화로 좌절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