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자LED의최근개발동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19 17:25
본문
Download : 고분자LED의최근개발동향.hwp
고분자LED의최근개발동향
순서
고분자LED의최근개발동향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고분자LED의최근개발동향 , 고분자LED의최근개발동향공학기술레포트 ,
고분자LED의최근개발동향
,공학기술,레포트





설명
Download : 고분자LED의최근개발동향.hwp( 76 )
레포트/공학기술
▶ 분자간 상호 작용에 기인되는 aggregate, excimer, exciplex생성이 분자거동이 상대적으 로 자유로운 말단에서 더 용이하게 일어남.
- Miteva 등에 의해 고분자 말단기를 정공 수송 능력이 있는 triarylamine유도체와 같은 것 으로 end capping했을 때 고분자 말단에서 정공 trapping이 효율적으로 일어남으로 소자 의 성능 improvement(개선)과 색순도의 안정성을 도모.
5.3 Interlayer의 도입
- 소자의 성능을 improvement(개선)하기 위해서 소자내에 존재하는 여러 계면을 잘 제어하는 것이 필요
- 계면제어를 통해 소자의 성능을 improvement(개선) 한 예로 interlayer인 electron confinement 층으로 사용하여 효율을 2배 이상 향상
-전체 소자를 구성하는 각 층들에 있어 상대적으로 취약한 층들을 방지할 수 잇는 새로운 층 interlayer의 도입으로 상당한 효율
5.4 Buffer layer PEDOT의 문제
-최근 몇 년 사이 표면 거칠기와 면저항에 있어 유기 EL용으로 상당히 improvement(개선)된 ITO(Indium Tin Oxide) 투명 전극이 공급되었지만 ITO의 일함수와 발광층 재료의 HOMO(Higu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에너지 준위차가 큰 경우 ▶ 정공…(투비컨티뉴드 )
고분자LED의최근개발동향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