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어 - 그 수용에서 순화까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08 10:40
본문
Download : 외래어 - 그 수용에서 순화까지.hwp
외래어97 , 외래어 - 그 수용에서 순화까지경영경제레포트 ,
외래어97
1. 외래어와 외국어
외래어외국어공통점다른 나라에서 온 말 차이점우리말처럼 느껴져 다른 나라에서 온 말이라는 것을 쉽게 느낄 수 없는 말다른 나라에서 온 말이라는 것을 금방 알 수 있는 말→ 외래어(外來語)외 외국어(外國語)는 모두 다른 나라에서 온 말이지만, 우리말처럼 느껴지는 정도에 차이가 있따 외래어는 상당히 우리말처럼 느껴져 다른 나라에서 온 말이라는 것을 쉽게 느낄 수 없는 말이다.
즉, 외래어는 고유어와 함께 자국어의 일부이지만, 외국어는 자국어의 일부가 아니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따 국어에 이미 존재하는 단어를 젖혀 두고 그에 해당하는 외국어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를 외국어의 사용이라고 부른다.
외국어는 `댄스, 레스토랑`과 같이 다른 나라에서 온 말이라는 것을 금방 알 수 있는 말이다.
레포트/경영경제
순서
,경영경제,레포트
Download : 외래어 - 그 수용에서 순화까지.hwp( 18 )
설명





외래어 - 그 수용에서 순화까지
다. 예) 핸드폰(영어 단어로는 cell phone인 것을 국어에서는 핸드폰으로 부르고 있는데, ‘휴대전화’라는 국어 표현이 가능하…(투비컨티뉴드 )
2. 외래어와 외국어의 구분 기준
① 자국어에의 동화 정도
② 국어 문장 속에서의 자연스러움의 정도
③ 외국어 의식이 있는지의 여부
④ 우리 사회에서 널리 쓰이는지의 여부
3. 외래어의 발생
4. 외래어의 긍정적 기능
외래어에 대한 입니다.외래어에 대한 자료입니다.
예) 굿모닝 이코노미 (아침 경제) / 와이프(아내) / 나이스 (좋은)
그런데 경계가 모호하기는 하다. `신문, 교실`과 같은 한자어나 `빵, 담배`와 같은 말이 그 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