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 말라리아_1103942.hwp
④매개종의 가장 활발한 흡혈시간이
설명
순서
말라리아 , 말라리아의약보건레포트 ,
다. 말라리아가 토착화한 지역은 북위 64˚~ 남위 32˚에 이르는 온대에서 열대 지방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아 그러나 1950~60년대에 온대 지방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환자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여 현재는 유럽과 북미 대륙에서 완전히 자취를 감추었다.말라리아
,의약보건,레포트
말라리아
Download : 말라리아_1103942.hwp( 87 )
레포트/의약보건
2.2 역학적 특징
말라리아는 세계적으로 매년 3~5억 명의 환자가 발생 하는데 90% 가량이 아프리카에 집중되어 있다아 매년 사망자수는 100~270만 명인데 대부분이 5세 미만의 어린이로 치사율은 10~30%이다.
③매개모기의 수명이 길어야 하는데(최소한 12일 이상), 낮에는 논이나 부락 인근 풀숲에서 휴식하고 있어 빈번한 농약살포가 모기 수명에 큰 effect(영향)
을 미친다. 말라리아 근절은 지역 environment(환경)
, 기타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지만 장기적으로는 경제발전이 결정적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아
말라리아는 사람에게 사람으로 모기에 의해 전파된다
따라서 감염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1차적인 말라리아 방제 방법이고 매개종(모기)의 구제와 사람-모기 접촉을 차단하는 것은 2차적인 방제 방법이 된다
경제적으로 선진국의 경우는 주민 각자가 자기 방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말라리아는 대대적인 국가사업이 없어도 자연히 근절된다
그러나 가난한 나라(개발도상국가)에서는 의료 시설의 절대 부족, 교통 시설 미비. 주민의 보건 의식 부족, 기타 많은…(투비컨티뉴드
)
①병원체 전파 기간이 매년 6월~9월(4개월)로 짧다. 따라서 말라리아의 발생은 매년 5~6 월부터 새로 스타트하게 된다
②매개종인 China얼룩날개모기(anopheles sinensis)가 가축흡혈기호성(zoophilic)이어서 0.1% 이하의 매우 낮은 인체흡혈률(human blood rate)을 보이고 있다아 따라서 새로운 감염이 이루어지려면 가축(소와 돼지)수가 격감하거나, 모기 개체군 밀도가 크게 증가 하여 인체흡혈 빈도가 높아 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