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삶과 철학 - 육왕심학에 대해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02 04:15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삶과 철학 - 육왕심학에 대해서.hwp
歷史적으로 정주학이 대세를 이룬 반면 양명학은 거기에 비해 크게 빛을 보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지만, 그 사상 체계가 가지고 있는 아름다운 가르침은 오늘도 깨우쳐 주는 바가 크기에 육상산, 왕양명 두 스승의 가르침을 다시 한 번 음미해 보기로 한다.
그가 열세 살 때 하루는 책을 읽은후 있다가 책에서 ‘우(宇)’라는 글자와 ‘주(宙)’라는 두 글자를 보게 되었는데, 그 때 갑작스러운 깨달음을 경험하게 되었다고 한다.
사회과학,삶과,철학,육왕심학,대해서,인문사회,레포트
[사회과학] 삶과 철학 - 육왕심학에 대해서 , [사회과학] 삶과 철학 - 육왕심학에 대해서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삶과 철학 육왕심학 대해서
[사회과학] 삶과 철학 - 육왕심학에 대해서
설명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사회과학] 삶과 철학 - 육왕심학에 대해서.hwp( 87 )
삶과 철학
- 육왕심학 -
상산(본명 육구연(陸九淵))은
신유학(新儒學)에는 두 갈래 큰 흐름이 있었다.”고 했다. 내 속에 있는 심(心)은 이(理)…(투비컨티뉴드 )
[사회과학] 삶과 철학 - 육왕심학에 대해서
![[사회과학]%20삶과%20철학%20-%20육왕심학에%20대해서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C%82%B6%EA%B3%BC%20%EC%B2%A0%ED%95%99%20-%20%EC%9C%A1%EC%99%95%EC%8B%AC%ED%95%99%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1.gif)
![[사회과학]%20삶과%20철학%20-%20육왕심학에%20대해서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C%82%B6%EA%B3%BC%20%EC%B2%A0%ED%95%99%20-%20%EC%9C%A1%EC%99%95%EC%8B%AC%ED%95%99%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2.gif)
![[사회과학]%20삶과%20철학%20-%20육왕심학에%20대해서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C%82%B6%EA%B3%BC%20%EC%B2%A0%ED%95%99%20-%20%EC%9C%A1%EC%99%95%EC%8B%AC%ED%95%99%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3.gif)
![[사회과학]%20삶과%20철학%20-%20육왕심학에%20대해서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C%82%B6%EA%B3%BC%20%EC%B2%A0%ED%95%99%20-%20%EC%9C%A1%EC%99%95%EC%8B%AC%ED%95%99%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4.gif)
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그는 “우주가 곧 내 마음이고 내 마음이 곧 우주다. 그 하나는 정이(程, 1032~1085)와 주희(朱熹, 1130~1200)의 가르침을 근간으로 하는 정주학(程朱學) 혹은 이학(理學)이고, 다른하나는 정호(程顥, 1033~1108)가 처음 하고 육상산(陸九淵, 象山, 1139~1193)이 터를 닦고, 왕양명(王守仁, 陽明, 1473~1529)이 완성한 육왕학(陸王學), 양명학(陽明學) 혹은 심학(心學)이었다. 동쪽 바다에 성인이 나타난다면 똑 같은 마음(心), 똑 같은 이(理)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