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u시티 프로젝트]u포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6 07:21
본문
Download : 20070308.jpg
U포트 성공의 키는 해수부, 건교부, 관세청 등 관련 중앙부처와의 원활한 업무 협조의 기반 위에서 필요한 국가 경쟁력과 한편으로 부산이 추구하는 부산 경제 및 산업 활성화 목표(目標)를 어떻게 적절히 매치시켜 나갈 것인가에 달려 있다아 임동식기자 dslim@etnews.co.kr
부산은 항구 도시다. 게이트, 장치장, 컨테이너 야드 등에 대한 RFID 인프라 구축이 核心(핵심)인 이 사업은 비록 전액 국비로 추진됐지만 부산항을 대상으로 항만과 연계도로를 포함한 물류 효율화가 목적이었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U포트의 첫 세부 사업으로 인식되고 있다아 RFID 인프라 구축 이후 이에 대한 운영과 유지 보수, 나아가 인프라 확대를 통한 항만 물류고도화 추진은 결국 U포트 완성을 위한 부산시의 몫이기 때문이다. 이 점 때문에 향후 추진 과정과 성과 측면에서 여전히 비판과 회의적인 시각이 사라지지 않고 있는 사업이기도 하다.
순서
Download : 20070308.jpg( 83 )
부산항의 U포트화는 물류정보의 중심지이자 물동량이 집중되는 허브항으로서 부산은 물론 우리나라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세계 최고의 항구로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부산 u시티 프로젝트]u포트
[부산 u시티 프로젝트]u포트
이와관련 지난해 하반기 정통부와 해수부 주관 아래 총 43억원 사업비가 투입된 ‘RFID 기반의 항만물류 효율화 사업’ 1단계가 완료됐다. 여기에는 터미널 게이트 출입 자동화, 컨테이너 위치추적 관리 등 RFID기반의 연계 운송 서비스부터 항만물류정보화, 그리고 USN기반의 화물 관리, 관련 서류의 전산화 등 물류 전반을 획기적으로 변화·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서비스가 총 망라돼 있다아
[부산 u시티 프로젝트]u포트
U포트는 그 비중과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부산시 단독으로 추진해 완성할 수 있는 분야가 그리 많지 않다. U포트는 부산 U시티 구현의 核心(핵심) 사업이자 초기 프로젝트 기획 때부터 중심에 놓였다.
[부산 u시티 프로젝트]u포트
다. 올 해 2단계 사업에서는 RFID 인프라가 대폭 확대 구축될 예정이다. 부산시는 물론 부산 지역 산학연 관계자들은 U포트의 성공이 곧 U시티 사업의 성공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말한다.





레포트 > 기타
설명
현재 부산시는 U포트 추진에 필요한 부산항 커뮤니티 포털 서비스 등 11개 세부 사업을 마련, 국가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항만을 포함한 국토 개발 사업과 연계시켜 분야별로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