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학기 식물의학 중간시험과제물 D형(식물병의 접종원, 전염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16 22:21
본문
Download : 20191중과_농학3_식물의학_D형.zip
식물이 병에 걸리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3) 종자 및 묘목에 의한 전반
4) 잡초 및 곤충
3. 전반
병원체는 environment조건에 따라 활동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원인들을 파악하는 것은 식물병으부터 작물들을 보호하기 위한 첫 걸음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전반에 대한 이해를 통해 병원체의 전반을 결과 적으로 차단하는 일 역시 식물병 발병 확률을 낮출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만약 environment조건이 적당하지 않을 경우 병원체는 휴면상태에 들어간다. 따라서 이번 보고서에서는 식물병의 접종원과 전염원(병든 식물의 조직 및 잔재, 병든 종자 및 영양번식기관, 오염된 토양, 잡초 및 곤충) 그리고 전반 방법(풍매전반, 수매전반, 종묘전반, 토양전반, 곤충전반, 접목전반, 접촉전반, 작은 동물 및 사람에 의한 전반)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접종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식물의 감염에 대해 알아보고, 전염원에 대한 이해를 통해 병원체의 월동처를 제거함으로써 식물병의 발병 가능성을 결과 적으로 낮출 수 있을 것이다. 지금부터 접종원, 전염원, 전반의 concept(개념)과 유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 목 차 -
순서
1. 식물병의 전염원.hwp
III. 결 론
1. 접종원
3) 오염된 토양
6) 기타 전반방법
3. 서론 작성시 참조.hwp
<< 함께 제공되는 참고資料 한글파일 >>
4. 결론 작성시 참조.hwp
4) 토양에 의한 전반
1. 접종원
1) 병든 식물의 조직 및 잔재
식물의학,방통대식물의학,방송대식물의학,식물의학과제물,식물의학레포트,식물의학과제
2. 식물병의 접종원.hwp
5) 곤충에 의한 전반
2) 물에 의한 전반
식물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병에 걸린다. 또한 병원체가 식물까지 이동하는 방식 또한 매우 다양하다. 봄에 새롭게 활동하기 스타트한 병원체에 의해 첫 번째 감염이 이루어지면 이를 1차 감염이라 부르며, 이를 일으킨 접종원은 1차 접종원이 된다
II. 본 론
식물병의 접종원, 전염원, 전반에 대하여 說明(설명) 하라.
식물병의 접종원, 전염원, 전반에 대하여 설명하라. - 목 차 - I. 서 론 II. 본 론 1. 접종원 2. 전염원 1) 병든 식물의 조직 및 잔재 2) 병든 종자 및 영양번식기관 3) 오염된 토양 4) 잡초 및 곤충 3. 전반 1) 바람에 의한 전반 2) 물에 의한 전반 3) 종자 및 묘목에 의한 전반 4) 토양에 의한 전반 5) 곤충에 의한 전반 6) 기타 전반방법 III. 결 론 참고문헌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식물병의 전염원.hwp 2. 식물병의 접종원.hwp 3. 서론 작성시 참조.hwp 4. 결론 작성시 참조.hwp
Download : 20191중과_농학3_식물의학_D형.zip( 27 )
2. 전염원
출처
2019년 1학기 식물의학 중간시험과제물 D형(식물병의 접종원, 전염원)
Ⅱ. 본 론
I. 서 론
1) 바람에 의한 전반



Ⅰ. 서 론
설명
- 중략 -
방송통신 > 중간과제물
2) 병든 종자 및 영양번식기관
다.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이 되면 대부분의 병원체가 월동을 하며, 봄이 되면 다시금 활동을 스타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