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 [서양사] 피에르노라의 기억의 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20 05:41
본문
Download : 피에르노라와‘기억의터’.hwp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피에르노라와‘기억의터’.hwp( 58 )
피에르노라, 기억의 터, 기억
설명





기억과 관련하여 歷史(역사)의 문제에 접근하려는 경향은 1980년대 이래 국제 歷史(역사)학의 주요한 흐름을 이루어왔다.~
순서
[서양사] 피에르노라의 기억의 터
다.
피에르 노라의 기억의 터란 책에 대한 자세한 분석과 소개입니다.~
피에르 노라의 기억의 터란 책에 대한 자세한 분석과 소개입니다. 노라에 따르면 우리 시대의 歷史(역사)와 기억은 더 이상 생생하지도 객관적이지도 않으며 오직 어렴풋한 이미지의 형태로만 존재한다. 기억의 歷史(역사)는 단순히 새로운 주제를 다룬다는 의미에서뿐만 아니라, 그것이 준거하는 이론(理論)적 패러다임에 있어서 근대 歷史(역사)학과 대비되는 새로운 형태의 歷史(역사)서술이라고 할 수 있다아 우리 시대에 이르러 歷史(역사)는 그 자체로 기억의 일부가 되어버렸고 또한 역으로 기억은 그 자체로 歷史(역사)적 성찰의 대상이 되고 있다아 이러한 인식을 보여 주는 대표적이고 선구적인 예가 바로 “기억의 터(lieux de m?moire)`연구이다. 이것은 프랑스 歷史(역사)가 피에르 노라(pierre Nora)가 기획한 총 7권짜리 대저작을 필두로 이루어졌다. 프랑스적 기억의 터에는 파리의 팡테옹이나 노트르-담, 루브르 박물관, 에펠탑, 베르사유의 궁전, 프랑스 삼색기 등과 같은 ”사물적 차원, 7월 14일이라는 날짜와 ‘자유-평등-박애’의 구호, 기념일들, 랭스에서의 성유식 의례, 기념축제, 순례여행 등과 같은 “상징적차원” 그리고 인권선언문, 혁명력(��]), 나폴레옹 법전, 정치인의 비망록, 대중적 사전들, 백과사전, 동화책, 또는 문서보관소들이나 에른스트 라비스(Ernest Lavisse)가 편집한 27권짜리 “프랑스사”, 歷史(역사)서술 등과 같은 “기능적” 차원이 두루 포함된다. 기억의 터란 단지 기억의 흔적이나 잉여물에 지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