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자유구역의 문제점과 대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6 12:59
본문
Download : 경제자유구역의 문제.hwp
이 계획은 재정경제부의 밀실에서 관료들이 주도하고, 재벌기업과 각지역의 개발이권동맹이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전국토와 전산업부문에서의 신자유주의적 질서를 완성해갈 전국의 중심적 거점들의 형성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1) 미심쩍은 경제적 효과(效果)
(3) 기존 유사제도와의 모호성
(2)문제제기
경제자유구역은 한국 속의 외국 이어야 한다. 대신 미국식 기업-시장체제와 금융 서비스업을 중심에 두고 노동자-민중을 보다 체계적으로 배제해나가는 세계적 자본질서로의 적극적 편입만이 추구되어 왔다. - 김길수 」 ()
(5) 투자 사업비 조달의 문제
경제구역 경제자유구역 경제특구 광양항 목포항대불산단 / 「경제자유구역의 발전방향과 통합정보 관리 시스템 도입방안 - 군산항을 중심으로(김용환)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의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 강영문 경제자유구역은 한국 속의 외국 이어야 한다.
(2) 지방자치단체의 경제자유구역 관리기능 강화
(1)경제구역이란 무엇인가
(3) 현실적인 재원조달 방안(方案)의 모색
노동자, 민중, 시 민 진영은 올 7월부터 시행예정인 경제자유지역 계획의 결점을 정확히 인식할 뿐만 아니라 이를 저지해야만 하는 과제(problem)에 직면하고 있다아 한 걸음 더 나아가 민중 및 시 민 의 올바른 참여가 보장되고 생존권이 보장되는 민주적 국민경제의 재구축을 위한 대안의 모색 또한 차분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아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이는 노태우, 김영삼 정권이후, IMF 관리체제하의 김대중 정권에서 지속되어 왔던 것으로서, 이에 대해 노동자, 민중의 신자유주의 반대 투쟁만이 국민경제적 건강성을 유일하게 담보해왔다. - 김길수 」 ()
순서
오늘날 한국자본주의는 60-70년대의 고도경제성장과 80년대 3저 호황 편승 등을 통해 국가주도의 민중배제적 국민경제체제를 유지해왔으나, 90년대 이후에는 국민경제를 유지, 발전시켜나갈 동력으로서 산업구조 고도화, 그리고 노동자, 민중, 시 민 의 참여를 포괄하는 발전적 국민경제체제 재형성이라는 비전을 상실하였다. 1.서론
(4) 경영environment(환경) 및 생활environment(환경) 의 획기적인 improvement
2.본론





(4) 국내의 특정기업에 대한 특혜사업 우려
설명
(1) 差別화된 경제자유구역의 추진
경제구역 경제자유구역 경제특구 광양항 목포항대불산단 / 「경제자유구역의 발전방향과 통합정보 관리 시스템 도입방법 - 군산항을 중심으로(김용환)
(2) 사회·경제적 부작용
경제구역 경제자유구역 경제특구 광양항 목포항대불산단
(7) 노사문제와 이와 관련 법규의 미비
(6) 공장용지 및 기반시설의 부족
경제자유구역의 문제점과 대안
Download : 경제자유구역의 문제.hwp( 68 )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의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 강영문
3. conclusion (무엇이 대안인가?)
(5) 노사정위원회를 통한 노사 간의 화합적 협력의 모색
한편 최근 노무현 정권 등장 이후 이 상황은 더욱 진전되어 일종의 완성국면으로 치닫는 듯한 인상이 있는데 오늘 논의의 중심주제가 될 경제자유구역(Free Economic Zone: FEZ)의 경우, 일련의 국책사업의 일환으로 전개되고 있는 동북아 중심국가 구상의 核心적 내용을 이루며 가장 전형적인 사례(instance)가 될 이다. 이러한 상황은 1차적으로 노동자, 민중의 생존권을 근본에서부터 동요시켜왔고, 한국경제의 건전성을 본질적으로 훼손해왔을 뿐만 아니라 세계경제에의 예속적 편입으로 인해 상시적인 불안정성과 위기를 야기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