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리교의 history(역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08 07:27
본문
Download : .HWP
3. 조선 감리교회의 탄생
* 그러나 최초의 의료 선교사는 알렌 박사 임. (미북 장로회 의료선교사)
설명





감리교의 history(역사)
2. 감리교회의 합동 운동
3. 선교지로서의 한국 풍토
4. 만주와 시베리아 선교
-- 1884. 9. 20. 래한 함.
1. 의료사업과 인재양성
순서
* 개원 다음 달인 5. 3. -- 미 감리회 의료선교사 스크랜톤박사가 서울에 도착 함. -- 알렌의 요청으로 제중원에서 조력 함.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2. 선교를 통한 사회적 공헌
2. 문서 연합사업
2. 남감리회의 선교
1. 쇄국정책과 선교활동
기독교 감리교 조선감리교 개척교회 민족교회 기독청년 운동 / ()
1. 기독청년 운동
(1) 세브란스 병원
Ⅰ. 개척교회 시대
1. 의료사업과 인재양성
VI.합동으로 지향하는 감리교회
1. 한말의 비운과 독립운동
III . 의료사업과 민족교회로서의 활동
* 1893. 8. 서울에 도착한 에비슨이 뉴욕에서 개최된 만국선교사 대회에 참석하여 한국의 근대식 병원 설립의 necessity 과 의학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함에 == 회의에 참석한 실업가인 루이스-세브란스가 $15, 000를 희사 했고, 선교부 보조받아 1904. 9. 3. 세브란스 병원을 준공케 됨.
3. 교회의 설립과 조직
* 광혜원은 개원 13일 후에 == 제중원이라고 개칭 함.
## 최초 선교사로 왔으나 -- 비밀리에 외국 공사관의 공의로써만 일 하다가, 1884. 12. 4. 갑신정변으로 정부 고관인 민 영익의 중상을 성공적으로 치료하여 서양 의학의 우수성을 과시케 됨. 국왕의 전의가 됐고 -- 광혜원(1885. 4. 10. ) 설립으로 선교사업의 길이 열리게 됨.
Download : .HWP( 20 )
기독교 감리교 조선감리교 개척교회 민족교회 기독청년 운동
II. 남북 감리교회 시대
* 1940. -- 한국에 있던 선교사들이 물러가게 되자 == 순전히 한국인이 운영함.
1. 미(북) 감리교회의 선교
기독교 감리교 조선감리교 개척교회 민족교회 기독청년 운동 / ()
2. 여성 사회 사업
2. 문호개방과 선교동기
1. 교역자 양성기관
* 맥클레이 박사가 미 감리교 해외 선교부에 보고하여 첫번째 의료선교사로 피택되여 임명받은 사람이 스크랜톤 박사 임. ( 1885. 6. 20. 본인, 부인, 어머니 래한 함. )
III . 의료사업과 민족교회로서의 활동
* 1917. -- 한국에 있는 6교파 선교부가 합동으로 경영 함.
3. 기독교와 독립운동
IV. 기독교와 독립운동
V. 청년운동과 연합사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