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와 4.3사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04 22:30
본문
Download : 제주도와 43사건.hwp
또 미 군정이 설치되면서 일제에 복무한 경찰을 모두 다시 불러 근무시킨 것은 해방의 의미를 지우는 것이었고, 민들의 원성의 표적이 되었다. 남로당의 4.3 봉기에 제주도민이 어쩔 수 없이 따랐든, 동조를 한 것은 1947년 3.1 시위와 3.10 관민 총파업 이후 외지 경찰과 서청원들이 대거 투입되어 고문, 감금, 테러를 하고, 금품을 빼앗고, 강간을 하는 등 만행을 저지른 데 대한 울분이 쌓여 있었고, 한민족으로서…(skip)
레포트/경영경제
순서
Download : 제주도와 43사건.hwp( 72 )
설명
제주도 , 제주도와 4.3사건경영경제레포트 ,
제주도와 4.3사건
,경영경제,레포트
다. 해방 직후에는 제주도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좌익세가 강하였고, 제주도만큼 오래 지속된 것은 아니지만 각지에 도 단위, 군 단위에서 면 단위, 리, 동 단위에 이르기까지 인민위원회가 있었다. 제주도






2. 수정주의로 본 4.3 항쟁
2.1 제주도를 조선의 축도로 볼 수 있는 이유
제주도는 해방 후 좌익세력이 상당히 강하였고, 인민위원회를 통하여 위력을 발휘했는데, 타도로부터 들어온 경찰이 도민에게 가혹히 하였고, 사설단체의 폭력행위로 도민의 감정을 도발하는 등 제주도의 민심은 완전히 관에서 이탈했다.
해방 후 제주도의 상황을 살펴보면 제주도는 어느 곳보다 좌우가 연합하여 치안을 자치적으로 수행하는 등 ‘해방의 맛’을 누리며 활동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