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양고전장자 행정학과 2학년 철학의 이해 D형 장자에 대한 발췌요약 및..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03 17:05
본문
Download : 동서양고전장자(2).hwp
지식욕, 자존심, 자기중심주의 같은 일체의 인위적, 외형적인 것을 넘어서서 자연의 운행과 그 리듬에 따라 우리의 행동을 자연스럽게 자발적으로 할때, 우리 속에 있는 생명력이 활성화하고 극대화해 모든 얾매임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삶, 이른바‘기대지 않는 삶’, ‘삶의 질을 높이는 일’이라는 것이다.
7) “학문의 길은 하루하루 쌓아 가는것, 도의 길은 하루하루 없애 가는 것“ 이라고 했다.
6) 순전히 지적 호기심을 충족하기 위한 일방적 지식 추구는 위험한 일이므로, 오직 중도를 기준으로 삼으면 몸도 보전하고 삶도 온전하게 되고, 모두 화목하게 지내게 되고, 천수를 누릴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동서를 막론하고 궁극적으로는 이렇게 ‘앎을 버림’ 혹은 ‘배운것을 버림’에 이를 때, 비로소 ‘하나’의 세계를 체험할 수 있다고 가르치는데, 여기서도 결국 지식이 아닌 직관으로 실재의 세계를 꿰뚫어 볼 수 있음을 말한 셈이다. 도와 하나가 되려면 우리가 지금 가지고 있는 모든 편건이나 단견 같은 이분법적이고 일방적인 의식으로 얻은 지식을 하나하나 버려야 한다. 유한한 삶으로 무한한 앎을 추구하는 것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위험하다는 것이다.
8) 이 세가지 뜻을 모두 채택하면, 우리의 잔꾀에서 나오는 고의나 계략같은 것이 전혀 없이 자발적이고 자연적인 행동, 우리 깊은 속에서 솟아나는 어떤 활기나 기백에 따라 올바르게 나타나는 행동같은 것을 의미한다고 볼수 있지 않을까 한마디로, 앞에서 지적한 것처럼, ‘자연의 순리를 따르고 거기에 몸을 맡기라’는 것이라 할수 있따
9) 제가 처음 소를 잡을 때는 눈에 보이는 것이 온통 소뿐이었습니다. 그런데도 오히려 이런 것을 더 얻지 못해 안달하며 쏘다니면 이야말로 위험한 일이 아니겠냐는 뜻이다. 하늘이 낸 결을 따라 큰 틈바귀에 칼을 밀어 넣고, 큰 구멍에 칼을 댑니다.
3) ‘양생주’라는 タイトル은 1) ‘양생의 주’ 곧 ‘생명을 북돋우는 요체’라 풀 수도 있고 2)‘생주를 양함’ 곧 ‘생명의 주인 혹은 생명의 요체를 북돋움’이라고 둘수도 있따
4) 착하다는 일 하더라도 이름이 날 정도로는 하지말고, 나쁘다는 일 하더라도 벌받을 정도로는 하지 마십시오. 오직 중도를 따라 그것을 기준으로 삼으십시오. 그러면 몸을 보전할 수 있고, 삶을 온전히 할 수 있고, 어버이를 공양할 수 있고, 주어진 나이를 다 채울 수 있을 것입니다. 지금은 신으로 대할 뿐, 눈으로 보지 않습니다. 감각기관은 쉬고, 신이 원하는 대로 움직입니다.
12) 사람의 모양이란 본래 두발을 갖추는 것, 이로 보아도 외발임은 하늘이 한 일이지 사람이 한 일이 아님을 알수 있소.
13) 발이 잘린 것을 사람의 탓으로 돌리지 않고 하늘이 한 일로 받아들이는 아량까지 갖춘 사람, 계속 남을 탓하면서 자기 속을 태우지 않고, 이렇게 된 것을 하늘이 준 운명으로 받아들여 개의치 않는 것, 이것이 바로 생명을
Download : 동서양고전장자(2).hwp( 61 )
순서
다. 삼년이 지나자 통째인 소가 보이지 않게 되었습니다.
동서양고전장자 행정학과 2학년 철학의 이해 D형 장자에 대한 발췌요약 및..
동서양고전장자,행정학과,학년,철학,이해,D형,장자,발췌요약,행정학과,방송통신
행정학과 2학년 철학의 이해 D형 장자에 대한 발췌요약 및 book report [장자 1,2]안병주, 전호근 공역, 전통문화연구회, 2001 1. 요약 ..
설명
방송통신/행정학과
행정학과 2학년 철학의 이해 D형 장자에 대한 발췌요약 및 독후감 [장자 1,2]안병주, 전호근 공역, 전통문화연구회, 2001 1. 요약 .. , 동서양고전장자 행정학과 2학년 철학의 이해 D형 장자에 대한 발췌요약 및..행정학과방송통신 , 동서양고전장자 행정학과 학년 철학 이해 D형 장자 발췌요약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행정학과 2학년 철학의 이해 D형
장자에 대한 발췌요약 및 독후감
[장자 1,2]안병주, 전호근 공역, 전통文化연구회,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