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나日本(일본)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11 20:20
본문
Download : 임나일본부_2066873.hwp
6)‘일본’이라는 국호도 7세기에 들어와서야 사용되는데 그 이전에 일본부라는 용어가 있었다는 것은 시기적으로 맞지 않다.
4) 일본서기보다 먼저 저술된 『고사기』 에는 임나일본부에 관련되어 전혀 언급이 없다.
,인문사회,레포트
1. 근거
일본서기 신공황후 49년 조를 보면 「신공 황후가 보낸 왜군이 한반도에 건너가 7국과 4읍을 점령하고 임나에 일본부를 설치하였는데 562년에 임나는 신라에 의해 멸망되었다.2. 비판
1) 일본서기는 8세기 초 일본의 왕가(천황가)를 미화하기 위해 저술된 것이다.임나일본부2 , 임나일본부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임나일본부_2066873.hwp( 20 )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다.」는 기사가 있음. 7국과 4읍의 위치를 고증한 결과, 지금의 경남 경북의 대부분을 평정하고 전남 전북과 충남의 일부를 정복하였으면, 백제왕의 조공을 받으면서 임나를 중심으로 한반도 남부를 지배하였는데 그 중심 기관이 일본부이다.
②이형구- 그의 주장은 신묘년조 첫 글자 왜는 원래 후자이고, 래도해는 불공인이었으며, 지워진 부분의 글자는 왜구신이라고 했다. 그 후 신묘년부터 조공을 바치지 않았으므로 고구려가 백제왜구신라를 파하여 신민으로 삼았다라고 해석된다
③서영수- 신묘년조의 래자를 미자로, 해자를 왕자로 읽었고, 지워진 부분의 글자가 왜항이라고 했다.
2) 5세기 이전의 것은 신화적 전설로 간주하는 등 신빙성이 결여된다
3) 일본 고대사 연구가 혼미상태인 것도 기록의 신빙성 때문인데 유독 임나 관계 기록만은 지나칠 정도로 집착하고 있는 것이 우선 문제이다.
임나日本(일본)부
순서
임나日本(일본)부 설의 歷史적 증거를 토대로 임나日本(일본)부에 대해서 쓴 글입니다. 왜가 신묘년에 바다를 건너와 대왕이 백제와 그 동조자인 왜를 공파하고 신라는 복속시켜 신민으로 삼았다는 새로운 해석을 내놓았다.
Ⅲ. 광개토대왕비
1…(To be continued )1) 비의 발견 및 조사
2) 비문내용(총44행 1775자)
① 1부 : 고구려 개국 설화(주몽의 건국설화)
② 2부 : 광개토대왕의 군사적 공적(영토의 확장과 왜군격퇴 사실)
③ 3부 : 능묘를 지키기 위한 연호(평민자연호) 300호의 배치 상황 등
3) 비문변조설
①이진희- 1972년 재일 사학자 이진희는 ‘일본 육군 참모 본부가 비문을 석회로 가공해 일본에 유리하도록 변조했다‘는 비문변조설을 주장해 문제의 비문 내용 자체의 신빙성을 인정하지 않았다.
5) 4세기의 일본은 열도조차 통합시키지 못한 상태였기 때문에 해외 침략의 여력이 없었다. 그리고 백제 신라는 속민임에도 불구하고 조공을 바치지 않았다.
4) 왕지엔췬(王建群)의 견해
임나日本(일본)부2
임나일본부 설의 역사적 증거를 토대로 임나일본부에 대해서 쓴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