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탈근대, 지식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07 06:28
본문
Download : “근대, 탈근대, 지식인”.hwp
1920년대에 출판된『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에서 역동적 종합이라는 적극적인 역할을 지식인에게 부과하였던 만하임이 1930년대에 쓴 글들에서는 한 걸음 뒤로 물러나서 자유정신의 방어라고 하는 보다 소극적인 역할을 부여하였다. 그는 맑스주의 지식인에게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지식인이 당파적인 관점을 취하는 것에 대상으로하여는 1920년대부터 일관되게 비판하여 왔다. 이에 덧붙여 그는 1930년대에 들어서는 맑스주의적 지식인에 대상으로하여뿐만 아니라, 사회의 산업화, 조직화, 그리고 전문화의 급속한 진행 과정 속에서 기능인화되어가고 있는 지식인에 대상으로하여도 자유정신의 상실을 문제삼았다.
“근대, 탈근대, 지식인”
Download : “근대, 탈근대, 지식인”.hwp( 58 )






,인문사회,레포트
이러한 사르트르의 비판적 역할론은 만하임의 논의, 특히 그가 1930년대에 쓴 글들에서 발견되는 지식인 역할론과 상당한 유사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 자유정신을 지키는 것이야말로 지식인의 최고 의무라는 점을 강조하였던 것이다(Mannheim, 1993: 79). 만하임은 이를 위해서 지식인이 고유한 자산인 비판적 판단능력을 활용하여 자신의 외부에서 발견되는 일체의 이데올로기뿐만 아니라 스스로에 대상으로하여도 비판적인 반성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Mannheim, 1956: …(skip)
순서
다. 19...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이러한 사르트르의 비판적 역할론은 만하임의 논의, 특히 그가 1930년대에 쓴 글들에서 발견되는 지식인 역할론과 상당한 유사성을 보여준다. 19... , “근대, 탈근대, 지식인”인문사회레포트 ,
이러한 사르트르의 비판적 역할론은 만하임의 논의, 특히 그가 1930년대에 쓴 글들에서 발견되는 지식인 역할론과 상당한 유사성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