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장애 학생(아동)의 교육적 지원 measure(방안) I. 병원학교/학급 설치 특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1-28 07:06
본문
Download : 건강장애 학생(아동)의 교육적 지원 방안.hwp
그리고 이들이 학습하고 있는 교육내용은 학생의 현재 학습 수준에 근거한 내용(57.6%), 제 학년 수준의 교육 과정 내용(18.2%), 예체능 중심의 활동내용(21.2%), 특수학교 교육 과정(3.0%)의 순으로 나타났다.
II. 순회…(투비컨티뉴드 )
순서
Download : 건강장애 학생(아동)의 교육적 지원 방안.hwp( 33 )
I. 병원학교/학급 설치 특수교육진흥법 제5조(의무교육 등), 제10조(특수교육 대상자의 선정), 제14조(순회교육 등), 특수교육진흥법 시행.. , 건강장애 학생(아동)의 교육적 지원 방안 I. 병원학교/학급 설치 특수..기타방송통신 , 건강장애 학생 아동 교육적 지원 I 병원학교/학급 설치 특수
방송통신/기타
건강장애 학생(아동)의 교육적 지원 measure(방안) I. 병원학교/학급 설치 특수..
건강장애,학생,아동,교육적,지원,I,병원학교/학급,설치,특수,기타,방송통신
I. 병원학교/학급 설치 특수교육진흥법 제5조(의무교육 등), 제10조(특수교육 대상자의 선정), 제14조(순회교육 등), 특수교육진흥법 시행..
설명
다. 위의 결과에서 밝히고 있듯이 교육의 형태나 내용이 건강장애 학생 수준에 적합하게 개별화된 교육 과정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때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가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I. 병원학교/학급 설치
특수교육진흥법 제5조(의무교육 등), 제10조(특수교육 대상자의 선정), 제14조(순회교육 등), 특수교육진흥법 시행령 제8조(특수교육 대상자의 선정)에는 국가가 병원학교를 설치 ․ 운영하여 장기입원 혹은 장기치료로 학업을 중단하거나 유급되고 있는 건강장애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장하고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따
최근 박은혜, 박지연, 노충래는 건강장애 학생들이 병원학교에서 교육받고 있는 형태를 조사한 결과, 병원 내의 교실에서 개별 또는 그룹으로 교육을 받는 형태(51.5%)가 가장 많았고, 교실에서 교사에게 개별지도를 받는 형태(27.3%), 사이버 교육(18.2%)의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