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사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03 21:18
본문
Download : 통사론_2030678.hwp
▣변형생성문법과 통사론
Chomsky에 이르면 언어는 유한한 수단으로 무한…(생략(省略))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통사론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통사론_2030678.hwp( 34 )
통사론이란
다.
통사론에 대한 글입니다.통사론이란 , 통사론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후기 블룸필드학파(Post-Bloomfieldians)의 언어이론(理論)은 Bloomfield의 학설을 기초로 하여 그 일면을 특히 확충, 전개시킨 것이 많이 있는데, Trager도 그 예외는 아닐것이다.
통사론에 대한 글입니다. . Trager 외에 K. L. Pike의 문법소론(tagmemics), Harris, Chomsky의 변형이론(理論)(transformational theory), 또는 E. Nida의 직접구성소분석(Immediate Constituency Analysis), Hockett의 구조문법론(constructional grammar), Lamb의 성층문법(stratificational grammar), Fillmore의 격문법(case grammar), 등에서 그 밖의 어떤 주장에서도 그 기원이 Bloomfield로까지 거슬러 올라가지 않는 것은 드물다. Bloomfield 이론(理論)에서 통사론의 기초가 되어 있는 槪念은 (1) 어순, (2) 억양(modulation), (3) 음성변용(phonetic modification), (4) 선택(selection)이다. 구조언어학은 특히 음소론(phonemics)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으며, 형태론과 의미론을 포함하여 상위언어학으로 발전할 것이었으나, 통사론 전개에 있어서 언어의 표면적인 면에 국한된 구조주의 방법론상의 한계로 더 이상의 진전을 보지는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