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해석] 법률해석과 유추해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6-14 07:17
본문
Download : 법률해석과 유추해석.hwp
_ 형법 제170조 ②항에서 말하는 “자기의 소유에 속하는 제166조 또는 제167조에 기재한 물건”이라 함은 “자기의 소유에 속하는 제166조에 기재한 물건 또는 자기의 소유에 속하든, 타인의 소유에 속하든
Ⅰ.학설의 판례화와 살아남기의 조건 , Ⅱ.대법원의 논증의 變化(변화) , Ⅲ.법학방법론 , Ⅳ.방법론의 패러다임 변환 , Ⅴ.형법해석의 한계 , filesize : 25K
Ⅰ.학설의 판례화와 살아남기의 조건 , Ⅱ.대법원의 논증의 변화 , Ⅲ.법학방법론 , Ⅳ.방법론의 패러다임 변환 , Ⅴ.형법해석의 한계 , FileSize : 25K , [법률해석] 법률해석과 유추해석법학행정레포트 , 법률해석 법률 소유권 형법해석
법률해석,법률,소유권,형법해석,법학행정,레포트
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설명
[법률해석] 법률해석과 유추해석
레포트/법학행정
Download : 법률해석과 유추해석.hwp( 32 )
순서






형법해석의 한계에 대한 두 교수의 논쟁이 펼쳐지게 된 계기가 된 최근의 대법원 결정이 갖는 법theory(이론)적 의의를 정리(arrangement)해보자. 이 사안에 대하여 형법 제170조 ②항을 적용할 것인가에 관하여 대법원판사들 사이에 논란이 있었으나 다수opinion(의견)은 제170조 ②항의 “자기의 소유에 속하는 제166조 또는 제167조에 기재한 물건”에서 `제167조에 기재한 물건'에는 자기 소유의 물건 뿐만 아니라 `타인 소유'의 물건도 포함된다고는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