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1. FTA 개요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30 13:07
본문
Download : FTA (2) .hwp
FTA는 다자무역질서의 근간인 최혜국대우 (MFN) 원칙에 정면으로 배치되지만,
WTO 규범은 아래와 같은 요건을 충족할 경우 적법한 예외로 인정하고 있습니다(상품분야는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 제XXIV조, 서비스 분야는 서비스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S) 제V조)
- 실질적으로 모든 무역을 대상으로 하며, 특정한 분야를 전면적으로 제외해서는 안됨.
- 관세 및 기타 상업적 제한의 합리적 기간내 (원칙적으로 10년이내)에 철폐하여야 함.
- 역외국에 대한 관세 및 기타 상업적 제한이 협정 체결전보다 더 후퇴해서는 안됨.
위에서 언급한 GATT 및 GATS 조항 외에도 허용조항(Enabling Clause)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GATT의 1979년 결정으로서 GATT 회원국들이 개도국에 대하여 discrimination적으로 보다 특혜적인 대우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한 것입니다…(To be continued )
FTA,FTA,개요,자유무역협정,FTA:,Free,Trade,무역학과,방송통신
다.
지역경제통합에는 아래와 같은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설명
FTA 1. FTA 개요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
Download : FTA (2) .hwp( 67 )
순서
1. FTA 개요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은 특정국가간에 배타적인 무역특혜를 서로 부여하는 협정으로서 가장.. , FTA 1. FTA 개요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무역학과방송통신 , FTA FTA 개요 자유무역협정 FTA: Free Trade
1. FTA 개요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은 특정국가간에 배타적인 무역특혜를 서로 부여하는 협정으로서 가장..
방송통신/무역학과
1. FTA 개요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은 특정국가간에 배타적인 무역특혜를 서로 부여하는 협정으로서 가장 느슨한 형태의 지역 경제통합 형태이며, 지역무역협정 (RTA: Regional Trade Agreement)의 대종을 이루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