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 위암1(2).hwp
이렇게 조기 위암과 진행성 위암을 구분하는 이유는 위의 점막층에는 암이 다른 부위로 전이를 일으킬 수 있는 혈관이나 림프관 등 파이프 모양의 관상 구조물이 없으므
위암1 , 위암1의약보건레포트 , 위암1
설명
순서
위암1,의약보건,레포트
위암1
다.
Download : 위암1(2).hwp( 65 )
위암1
레포트/의약보건
2014년도 암간호
위암
1. 암의 definition
및 발생률 3
2. 위의 위치와 구조 4
3. 위암의 definition
및 종류 4
4. 위암의 발생빈도 7
5. 위험요인 8
6. 증상 10
7. 병기별 분류 14
8. 진단 방법 16
9. 치료 방법 17
10. 치료의 부작용 23
11. 재발 및 전이 27
12. 치료 동향 29
13. 예방법 29
14. 참고 문헌 31
1.
[그림 ] 암세포의 현미경적 소견
암의 definition
및 발생률
우리의 생활에 여유가 생기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암이란 질병에 모두들 걱정을 하게 되었다. 양성종양은 단순한 덩어리를 형성한 상태로 대개의 경우 간단한 수술로 제거하면 치료가 되고 다시 재발하지 않는 혹이다. 그러나 악성종양 다시 말해 암은 몸 안의 정상적인 통제에 따르지 않고 제멋대로 자라 발생한 곳의 장기를 파괴…(skip)
[그림 ] 암 발생률 통계(중앙 암 등록 본부)
2. 위의 위치와 구조
▶위의 구조
위의 위치 위는 소화기관 중에서 가장 넓은 부분이며, 배의 왼쪽 윗부분인 왼쪽 갈비뼈 아래에 위치하고, 위쪽으로는 식도와 연결되고 아래쪽으로는 십이지장과 연결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볼 때 위는 우리 몸의 정 가운데 자리 잡고 있으며, 음식물 섭취로 위가 가득 차 있을 때를 기준으로 할 경우 위 전체의 5/6정도(기저부와 대만곡 부위)가 몸의 정중앙선에서 약간 왼쪽으로 치우쳐 있고, 위의 좁고 가느다란 부분(소만곡과 유문 부위)이 오른쪽으로 치우쳐 있다
▶위의 구조
위는 식도에서 위로 이행하는 위의 입구인 분문부위, 좌상방으로 불룩하게 내민 위저부위, 중앙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위체부 그리고 십이지장을 향해서 가늘어지는 유문부로 나누어 집니다.
종양이라는 말은 몸에 발생한 혹이나 덩어리를 일컫는 일반적인 용어이며, 종양을 양성 및 악성종양으로 분류하게 되며, 이 중 악성종양을 짧게 말하여 암이라고 한다. 위벽은 점막층, 점막하층, 고유근육층, 장막하, 장막층의 다섯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 위의 위치
[그림 ] 위의 구조
3. 위암의 definition
및 종류
3.1. 위암_선암의 definition
위암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위선암은 위벽의 점막층에서 발생하며, 조기 위암과 진행성 위암으로 나뉜다. 조기 위암이란 암이 점막층과 점막하층에 국한된 초기 단계에 해당하는 위암을 뜻하며, 진행성 위암은 점막하층을 지나 근육층 및 그 이상의 단계로 진행한 위암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