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우리나라의 노사협의 제도의 법적 문제 점과 改善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6-17 15:24
본문
Download : 현행 우리나라의 노사협의제도의 법적 문제점과 개선방향.hwp
2. 합의된 사항의 효력
1) 결점
현재에는 노사협의회에서 합의된 사항을 사용자 측에서 미이행 하더라도 벌칙만 부여되고 다른 강제 수단이 없어 실질적인 법적인 효력이 없다.레포트/법학행정
현행 우리나라의 노사협의 제도의 법적 문제 점과 改善방향
설명
현행,우리나라,노사협,제도,법적,문제,점과,개선방향,법학행정,레포트
현행 우리나라의 노사협의 제도의 법적 문제 점과 개선방향 , 현행 우리나라의 노사협의 제도의 법적 문제 점과 개선방향법학행정레포트 , 현행 우리나라 노사협 제도 법적 문제 점과 개선방향
순서


현행 우리나라의 노사협의 제도의 법적 문제 점과 改善방향
노사협의제도의 법적 결점과 improvement(개선)방향
1. 들어가며
우리나라에서의 노사협의회 제도는 근참법을 통해 규정되어 있어 단체교섭과 더불어 법적으로 규율되고 있는 노사의 대화 창구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에 관련하여 efficacy와 더불어 다양한 결점과 improvement(개선)점이 논의되고 있는 바 이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4. 근로자위원 선출방법
1) 결점
조합이 해당 근로자의 과반수 넘기만 하면 조…(skip)
Download : 현행 우리나라의 노사협의제도의 법적 문제점과 개선방향.hwp( 55 )
다.
3. 설치범위
중소기업이 주종이루는 우리나라 실정을 감안한다면, 그리고 그러한 사업장의 노동권이 더 보장되지 않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법을 개정하여 30인미만 사업장에도 노사협의회 설치를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2) improvement(개선)방향
이에 노사협의회에서 합의된 사항의 효력을 취업규칙과 동일한 효력으로 할 경우 근로계약이나 단체협약과의 관계를 명확히 하고 미이행에 대해 재판상 청구가 가능하여 실효성 확보측면에서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