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라르 주네트 - 곁텍스트성(paratext, paratextualite)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23 06:33
본문
Download : 제라르 주네트 - 곁텍스트성(paratext, paratextualite).hwp
현존하는 것과는 다른 결합이 생겼다 사라졌다 하는 법이다. 문학사와 하위 범주, 자서전학, 원전(原典) 및 影響 비평, 작품의 기원과 「운명」, 그리고 개별 작품의 연구, 비평 등. 비평의 본질적인 기능은 「텍스트와 프시케의 대화를 유지시키는 것이다. 프시케가 의식적 그리고 / 혹은 무의식적이건, 개인적 그리고 / 혹은 집단적이건, 창조적 그리고 / 혹은 수동적이건 말이다.
제라르주네트
서평감상/서평
순서
설명
《문체1》과 《문체2》에 수록된, 수사학에 아주 가까운 초기의 작업으로 새로운 시학의 대표자 중 한 사람으로 인정받은 제라르 주네트는 특히 세계적으로 광범위한 독자를 갖고 있는 《문체3》(쇠이유, 1972)를 발표하면서부터 명실공히 시학의 대표자로 자리잡게 된다 여기서 새로운 시학이라 한 이유는, 그것이 고대의 수사학과 시학이 동의하는 「의미로 형식과 장르를 연구하기보다는, 오히려 담화의 여러 가능태들을 탐구하는데 주력」하고 있다아 현존하는 작품과 형식은 개별 example(사례) 들이다. 」 시학은 비평과 상보적인 관계를 맺으며, 서로 影響을 「주고 받…(省略)
제라르 주네트 - 곁텍스트성(paratext, paratextualite)
Download : 제라르 주네트 - 곁텍스트성(paratext, paratextualite).hwp( 52 )
제라르 주네트 - 곁텍스트성(paratext, paratextualite)제라르주네트 , 제라르 주네트 - 곁텍스트성(paratext, paratextualite)서평서평감상 ,
,서평,서평감상
_hwp_01.gif)
_hwp_02.gif)
제라르 주네트 - 곁텍스트성(paratext, paratextualite)
다. 주네트는 문학 연구의 부수적인 원칙들을 분류한다. 따라서 주네트는 고대인들의 「닫힌」 시학에 「열린」시학을 대립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