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별전괴불 (17족)에 대하여 / 별전괴불 (17족)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20 14:22
본문
Download : [인문학] 별전괴불 (17족)에 대하여 .hwp
별전은 상평통보의 재료인 구리의 질과 무게등을 시험하기 위하여 만든 것으로 일종의 기념화로서 당시 왕실이나 사대부 등 상류사회의 패물이나 애장품으로 사용되었다. 별전괴불 (17족)에 대하여.. ▒ 지정번호 중요민속자료(資料) 제47호 ▒ 지정연월일 1979년 1월 23일 ▒ 시 대 조선시대 ▒ 규모*양식 1점, 자수 ▒ 소 유 자 세종대학교 ▒ 소 재 지 서울특별시 광진구 군자동 산 2 세종대학교 박물관 별전괴불이란 별전(엽전)ㆍ옥(玉)ㆍ수놓은 주머니 등을 꿰어 만든 노리개이다. 괴불은 네모진 비단색 헝겊을 삼각형으로 접어서 꿰매어 그 속에 솜을 통통하게 넣고 가장자리에 수를 놓아 아름답게 꾸민 후 비단색 끈을 접어서 달고 매듭 끈을 꿴 것이다. 별전은 원래 정상적인 주화와 구분하기 위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조선 숙종 4년(1678)부터 만들었다. 괴불은 어린이나 부녀자(婦女子)들이 장식하기 위하여 차는 노리개의 일종으로 괴불줌치, 괴불주머니라고도 부른다. 이 별전괴불은 궁중에서 사용한 것이라 전하며, 괴불 18줄이 달려 있으며 1줄의 길이는 대략 20∼35㎝ 정도이다. 이 엽전을 매듭줄로 매어 그 아래에 용두문 고리에다 연결하였으며 이 용두문 고리 밑으로 복주머니 동판이 걸려 있다아 복주머니 동판 전면은 백색바탕에 청색 해태 한 마리가 중심에 칠보되어 있고 가장자리에는 새ㆍ꽃ㆍ나무ㆍ수복강녕ㆍ부귀다남 등 길상적인 문자들이 청색ㆍ녹색ㆍ적색으로 칠보되어 있다아 뒷면은 청색 바탕에 적색 몸통과 녹색 날개를 그린 박쥐 다섯 마리가 칠보기법을 사용하여 동판에 음각되...
[인문학] 별전괴불 (17족)에 대하여 / 별전괴불 (17족)에 대하여..
별전괴불 (17족)에 대하여.. ▒ 지정번호 중요민속자료 제47호 ▒ 지...
Download : [인문학] 별전괴불 (17족)에 대하여 .hwp( 73 )
별전괴불 (17족)에 대하여.. ▒ 지정번호 중요민속資料 제47호 ▒ 지...
![[인문학] 별전괴불 (17족)에 대하여 -1221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C%9D%B8%EB%AC%B8%ED%95%99%5D%20%EB%B3%84%EC%A0%84%EA%B4%B4%EB%B6%88%20(17%EC%A1%B1)%EC%97%90%20%EB%8C%80%ED%95%98%EC%97%AC%20-1221_01.gif)




순서
설명
인문학 별전괴불 17족에 대하여 / 별전괴불 17족에 대하여..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그 형태는 맨 위에 8각형의 상이 매듭실에 꿰어 있는데 바탕은 청색으로 테두리는 적색으로 칠보되어 있고 상평통보라고 음각되어 있다아 중심부는 정사각형이 뚫려 있으며 테두리는 녹색으로 되어 있다아 이 상평통보는 인조 11년(1633)에 처음 만들어 쓰다가 숙종 4년(1678)에 두 번째로 만들어서 조선 말기까지 계속해서 쓰던 엽전인데 칠보를 입혀 장식하였다.